식품 중 오크라톡신 실태조사 및 국내 식품
Ochratoxin A
오크라톡신 A 허용기준
Ochratoxin A의 물리·화학적 특성
Ochratoxin A의 안정성
오크라톡신 추출법
오크라톡신 정제법
오크라톡신 A의 분리와 검출
오크라톡신 A의 흡수, 분포, 대사 및 배설
Ochratoxin A의 독성 보고
Ochratoxin A의 인체에서의 반응
Ochratoxin A의 독성 연구
본문내용
▣ “식품오염물질 실태조사 및 안전관리(한국소비자보호원)” 연구사업의 제2 세부과제로 식품 중 오크라톡신 실태조사 및 국내 식품에서의 ochratoxin A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지역은 8개 시 (서울, 경기,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였으며 시료의 종류는 곡류 및 곡류가공품( 쌀 및 쌀 가공품, 보리 및 보리가공품, 밀 및 밀가공품, 옥수수 및 옥수수 가공품, 잡곡, 혼합곡류가공품 및 영유아용 곡류가공품 ), 두류 및 두류 가공품, 포도주, 포도 쥬스, 건포도, 견과류, 건조과일, 종실류, 커피, 양념류, 돼지고기 및 햄류 중의 ochratoxin A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수집한 73점의 쌀과 쌀 가공품의 ochratoxin A 오염수준은 LOD와 LOQ사이에 존재하는 시료 3점, LOQ 값을 웃도는 시료는 1점이었다. 보리차에서는 0.93ppb 검출된 시료가 1점 있었고, 맥주에서는 0.025~0.19ppb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밀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국수에서 0.072ppb 검출되었고 라면에는 0.14, 과자류 0.12, 0.13ppb였다. 옥수수 2점에서 ochratoxin A가 검출되었는데 1점이 LOQ 값 이상인 0.13ppb 검출되었다. 포도주는 0.042-0.085ppb, 건포도는 0.063~1.70ppb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종실류 중 들깨 1점에서 4.90ppb가 검출되어 오염량이 높은 수준이었다. 커피는 0.18~0.72ppb까지 나타났고 주로 인스턴트커피에서 높게 나타났다. 고춧가루에는 0.11~0.90ppb 검출되었다. 그 외 시료에서는 ochratoxin A가 불검출 또는 LOD와 LOQ사이에 존재했다.
식품별 ochratoxin A 분석방법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식품에서 회수율이 8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약주와 탁주, 여러 가지 콩 발효식품 및 고춧가루 와 들깨 등에서 ochratoxin A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Ochratoxin A
▣ Ochratoxin A는 Aspergillus ochraceus, Aspergillus carbonarius, Penicillium verrucosum 등의 곰팡이가 생산하는 독소이다.
Ochratoxin A는 ochratoxin A, B, C, 4-hydroxyochratoxin A 등 17종의 유사체가 있으며, 이 중에서 오클라톡신 A가 가장 중요하고 가장 흔히 발견되며 OTA 또는 OA 약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