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Yield of Domestically Bred Silage Corn Varieties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4.03
최종 저작일
2022.09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4,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42권 / 3호
저자명 : Jong Geun Kim, Young Sang Yu, Li Li Wang, Yan Fen Li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1. Corn Varieties
2. Germination rate measurement
3. Field experiment
4. Feed Value Analysis
5. Statistical processing
Ⅲ. RESULTS AND DISCUSSION
1. Seed Characteristics
2. Growth characteristics
3. Plant characteristics
4. Productivity
5. Feed Value
Ⅳ. ACKNOWLEDGMENTS
Ⅴ. REFERENCES

영어 초록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ilage corn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Corn cultiv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experimental field in the Pyeongchang campu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550 m above sea level). There have 10 domestic cultivars (Gwangpyeongok, Dacheongok, Yanganok, Jangdaok, Cheongdaok, Daanok, Sinhwangok, Sinhwangok Ⅱ, Pyeonggangok, and Hwangdaok) with one imported cultivar (P1543) which tested as a control, and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Among the 100-grains weight of the seeds, Dacheongok was the heaviest, and the germination rate for each variety was 74.6% on average, while that of Daanok and Sinhwangok were over 90%. Sinhwangok was the fastest in tasseling and silking date. The number of days required to be silking date was as slow as 85 days in Dacheongok, Cheongdaok and Pyeonggangok, and as fast as 80 days or less in Sinhwangok, Sinhwangok Ⅱ and Hwangdaok. The plant height of P1543 was the highest as 344cm, and Hwangdaok and Daanok were short. In terms of the ratio of ears, Daanok had the highest rate of 60.18%, and Jangdaok and Dacheongok had the low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matter content in stover, but P1543 was generally higher in ear and total dry matter content. The dry matter yield was highest in P1543, and the yield of TD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1543 and Yanganok.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ears and the dry digestibility of stems (p<0.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each part or element. Combining the above results, Yanganok was the highest in terms of yield, and Dacheongok, Sinhwangok and Pyeonggangok were also recommended for domestically grown corn varieties in the mountainous regions of Gangwon-do.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Forage Yield of Domestically Bred Silage Corn Varieties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