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원
1. 식품의 안전이 위협받는 요인
-도시화로 인한 오염
-수입식품의 증가로 해외 식품 검사의 신뢰성에서 오는 고객들의 걱정
-분석기술의 발달에 의해 미처 발견하지 못한 부분까지 발견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항생제와 성장호르몬 첨가, 품질향상을 위해 식품첨가물, 농약
-GMO가 위해물질을 생성하는 것은 아니지만 GMO에서 오는 걱정
-식품공급체인 글로벌화
-자유무역 환경으로 인한 수입식품 증가
-고령화시대에 따른 노인인구 증가로 취약층 증가
-HMR 시장 규모 확대 & 외식 증가등 식생활 소비 패턴의 변화
-공항에서의 식중독 문제
-식품 생산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해물질 대두
EX) 연평균 기온이 올라가 곰팡이에 의한 독소, 농산물에 대한 변화
온난화에 의한 식중독 환자 증가, 기온 1도 오르면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황색포도상구균 증가
-항생제 저항균 증가
-건강 보호에 대한 국민 요구 증대
2. 올해의 HMR 시장 트렌드
HMR은 즉석식품 도시락, 즉석 조리식품, 신선편의 식품등을 말하며 예전에 비해 형태유지, 맛 유지할 수 있는 기술과 포장기술, 고온 고압 처리 기술등의 발달로 인해 소비가 늘고 있다. 올해의 트렌드는
첫째, 가시비 제품의 인기이다. 가시비 제품은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는 서비스이며, 새벽 배송이나 에어프라이어 제품이 증가하고 파우치 죽이나 프리미엄 국물 선호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둘째, 4th meal 이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밤에 여가 시간이 늘어나 야식과 간식의 소비가 늘고 있다.
셋째, Better for you 이다. 홈트 열풍이나 비건식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 단백질과 야채 중심의 식품 소비가 늘고 있다.
넷째,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배달음식은 41% 증가하였고, 가정간편식은 5배 증가 하였다.
3. 식품 위생의 정의와 식품 안전의 정의
식품 위생은 who에서는 식품 위생을 식품의 재배, 생산, 및 제조부터 최종 섭취되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식품의 안전성,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대책으로 정의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