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적 변인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적 변인
1.1. 나이
1.2. 제2언어 경험 기간과 제2언어 환경에서의 거주 기간
1.3. 언어 적성
2. 적성 및 동기를 통한 효과적인 발음 교육 방안
3. 언어습득의 3가지 이론
3.1. 행동주의
3.2. 생득주의
3.3. 구성주의
4. 각 이론의 한계점
4.1. 행동주의
4.2. 생득주의
4.3. 구성주의
5. 본인의 의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2언어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비언어적 변인
1.1. 나이
나이는 제2언어 습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에 따르면, 언어 습득에는 특정한 결정적 시기가 존재하며, 이 시기를 지나면 모국어 화자와 같은 언어 습득이 어렵다. 이 가설은 언어 습득을 생물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를 대체로 10대 초반으로 보며, 이 시기를 놓치면 모국어 화자와 같이 언어 구사를 하기 어렵다고 본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언어 습득을 위한 뇌 성숙 과정에서 좌반구가 우반구에 우세해 지는 시기는 특정한 요소에 대해 민감성을 보이는 과도기적 기간으로 언어 습득 과정에서 이 민감성은 아주 중요하지만, 그 기간의 시효가 짧다. 이 시기가 지나면 외국어 학습을 하는 성인의 경우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습득하지 못하고 외국어로 습득하게 된다고 본다. 음성 습득 차원에서 결정적 시기 가설은 학습자가 결정적 시기를 지나 제2언어 음성을 학습할 경우 새로운 발음을 습득하는 능력이 억제되어 외국인 발음으로 발음하게 된다고 본다. 또한 결정적 시기 이전에 학습하는 것보다 습득 속도가 느리고 외국어 발음을 성공적으로 습득하기 위해서 음성 습득은 언어 기능과 관련한 뇌 편재화가 일어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연구로 Patkowski(1990)와 Johnson & Newport(1989)의 연구가 있으며, 이들은 청소년기 인전에 제2언어를 배우기 시작한 학습자가 성인 학습자보다 모국어 화자와 유사한 발음을 구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1.2. 제2언어 경험 기간과 제2언어 환경에서의 거주 기간
다른 변인들에 차이가 없을 경우, 대체로 제2언어에 대한 경험 기간이 길고, 또 제2언어 환경에서 거주 기간이 길수록 외국어 습득이 잘 되는 경향이 있다. Flege와 Hillenbrand(1984)의 연구에서는 제2언어 사용국가에 거주하는 기간이 길수록 발음 능력이 향상되었고, Flege, Bohn, 그리고 Jang(1997)의 연구에서는 경험이 많은 화자가 청취 실험이나 음향 분석 측면에서 영어 모국어 화자와 가까운 양상을 보여주었다. 반면 평소 모국어 사용량이 많은 사람은 결정적 시기 이전에 제2언어를 배웠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국인과 같은 발음이 감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국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제2언어 음성 습득에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3. 언어 적성
언어 적성은 외국어를 배우는 능력 혹은 재능을 의미하며, 이는 제2언어 발음 습득에 중요한 요소이다. Carroll(1981)은 언어 적성을 음소 부호화 능력, 문법적 민감성, 귀납적 언어 학습 능력, 암기력으로 구분하였고, Skehan(1989)은 청각능력, 언어적 능력, 기억 능력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음소 부호화 능력과 청각 능력은 발음 습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권성미(2013)은 음성적 민감도가 높은 학습자가 발음 습득에서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고 주장했다. 즉, 언어 적성은 발음 ...
참고 자료
Carroll, J. B. (1981). "Twenty-five years of research on foreign language aptitude." In K. C. Diller (Ed.), Individual differences and universals in language learning aptitude(pp. 83-118). Newbury House.
Flege, J. E., & Hillenbrand, J. (1984). "Limits on phonetic accuracy in foreign language speech production."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76(3), 708-721.
Flege, J. E., Bohn, O. S., & Jang, S. (1997). "Effects of experience on non-native speakers'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vowels." Journal of Phonetics, 25(4), 437-470.
Johnson, J. S., & Newport, E. L. (1989). "Critical period effect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The influence of maturational state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Cognitive Psychology, 21(1), 60-99.
외국어로서의한국어발음교육론 수업교재.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결정적 시기 가설. 위키백과
김수회(2003). 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가정 문해 환경과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은진 외(2007). 영아 언어발달 연구의 경향 분석:0-36개월 미만 영아를 대상으로. 영아교육연구.
박채형(2006).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에 대한 인식론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한국도덕교육학회.
김선옥 외(2006). 유아의 읽기에 대한 음운처리과정, 글자지식 및 언어 능력의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