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관계가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습관적 판단을 멈추고 친밀감을 키우는 관계 수업
노력하는데도 관계가 풀리지 않는다면
무너진 관계를 회복하고 싶다면
상처받은 관계를 복구하고 후회할 단절을 피하는
관계의 회복탄력성 수업
부부나 부모 자식 사이, 오래된 친구 등 가깝고 중요한 관계일수록 상처받기는 쉽고 관계를 복구하기는 어렵다. 많은 사람이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좋은 관계를 위해 노력하지만, 여전히 어렵고 힘든 인간관계 때문에 상담실을 찾는다. 왜 인간관계는 아무리 노력해도 제자리인 것 같을까?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작가인 문요한은 신간 《관계의 언어》에서 그 이유가 ‘반사적이고 자기중심적인 마음읽기에 급급하고 나와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얘기한다.
저자는 ‘관계 심리학의 장기 베스트셀러’로 꼽히는 전작 《관계를 읽는 시간》에서 ‘나’와 ‘관계’의 균형을 되찾아가는 출발점으로 ‘바운더리’ 개념을 소개한 데 이어, 이번에는 나를 잃지 않고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애쓸수록 꼬이기만 하는 인간관계의 솔루션으로 ‘마음 헤아리기mentalization’라는 관계의 언어를 제안한다.
인간의 마음은 두 체계로 서로 파악하고 소통한다. 타인을 속단하기 쉬운 반사적 ‘마음읽기’와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인 ‘마음 헤아리기’다. 마음 헤아리기가 결핍된 채로 이루어지는 배려와 노력은 때로 관계를 해치고 단절시킬 수 있다. 우리가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마음읽기’를 하지 않을 수 없지만, 상처입은 관계를 복구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한다면 언제든 마음 헤아리기로 돌아올 힘을 키워야 한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 ‘마음 헤아리기 언어’를 연습해야 한다.
말은 행동보다는 너무 쉽게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동기가 무엇인지 그렇게 탐구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을 한다. 마음 탐구, 의도 탐구를 할 때 항상 상대방의 입장을 나와 대조해보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관계의 단절, 그런 것을 겪으면서 성장해야 한다고 한 점에 대해서 이해가 된다.
나는 개인적으로 부탁이나 요청을 거의 하지 않는다. 상대방이 물론 자발적으로 내가 원하는 걸 독심술 쓴 것처럼 해주길 바라지도 않는다. 그저 사람과 관계가 안 끊어지길 바라기 때문에 딱히 바라지를 않는다. 이게 그나마 언어적인 습관을 떠나서 관계를 유지하는 비결이라고 생각을 해왔다.
저자는 말로서 상대방의 생각, 행동 패턴 등을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일부는 인정을 할 수밖에 없다. 타인에 대한 관심이 상대를 부드럽게 해주는 것, 그것도 이해가 된다. 말이 특히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사람의 관점은 매우 좁다. 그래서 ‘마음’이라고 하는 걸 헤아리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는 것에 동감을 했다. 그 과정의 기저에는 ‘말’ ‘행동’이 어떤 마음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 것을 추적하는 과정이 들어가 있다. 저자는 마음 헤아리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했다. 정말로 맞는 말이다.
‘관심’은 때로 순수하지 못하다, 의도가 따로 있다고 의심을 받을 수 있으나 순수한 관심, 상대를 파악하기 위한 진심 어린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을 한다.
공감, 마음 헤아리기를 하는 것이 절대 쉽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마음 헤아리기의 정반대, 그건 정말 해서는 안 될 것 같기도 했다. 마음 헤아리기의 정의에 따르면 그 반대 행위는 상대방의 경험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남에게 잘 휘둘리면 안 될 거 같다.
또 괜히 공감하는 척 하면서 ‘그건 아니다’ ‘니가 잘못 생각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나는 좀 소시오패스 같은 말이지만 그렇게 남의 마음을 헤아릴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 감정에도 무심한 편이다. 감정은 굉장히 휘발성이 강하고 갑자기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이유를 붙이고 ‘내가 왜 그렇게 느꼈을까’ 이러는 과정이 피곤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감정은 비논리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민하는 건 당연히 시간 낭비 같다. 사과, 약속 시에 말을 잘 해야 하는 건 나도 잘 안다. 요즘 인터넷에 유행하는 말로 사과할 때는 ‘그러나’ ‘하지만’ 이런 말을 안 붙이는 게 중요한 거 같다. 반성문, 사과문이든 직접 사과하는 상황이든 모두 마찬가지라고 생각을 한다.
상대가 도대체 왜 그렇게 했을까 하는 것을 생각할 이유도 없다고 본다. 왜냐면 그 이유를 그 사람이 솔직히 알려주지도 않을뿐더러 나 혼자 고찰하다가 착각의 늪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관계의 언어】독후감
최근에 여러 방송국마다 앞을 다투며 제작하고 있는 상담 관련 프로그램을 보면서 두 가지 느낌을 받았었다. 한 가지는 많은 현대인들이 인간관계로 인해 괴로워하고 있다는 것이었고, 또 다른 느낌은 이러한 문제를 매우 진지하게 바라보고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었다. 가정, 학교, 직장 등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언제나 갈등과 오해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가까운 사람들과도 건강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맺지 못한다면 우리의 삶은 매우 고통스러워질 것이다. 하지만 이런 관계를 회복하고 싶어도 마음처럼 쉽게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고민을 가지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작가로도 열심히 활동하고 있는 문요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펴낸 이 책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는 주변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반이 되어주는 ‘마음 헤아리기’에 대한 내용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