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한국적 상황에서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서 쓰여졌다. 또한 이책을 통해서 진정으로 기족교적은 교수 방법의 발전을 촉진할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하여 고민하는 우리 한국의 모든 기독 교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기독교적 가르침에 있어서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인 부분에서부터 방법, 실제 적용까지 상세히 다뤄주고 있다. 이처럼 교육 상황 속에서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해 주었지만, 다소 한국의 공교육에서 적용하기에는 다소 추상적인 측면이 있었고 더 깊은 논의가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 한국 공교육에서 기독교교육이 가능한가?
‘교육법’에서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에서는 특정한 종교를 위한 종교교육을 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한다. 기독교학교들도 기독교학교로서의 정체성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위기 속에 있다. 종교계 사립학교로서의 기독교학교는 건학이념에 근거하여 기독교교육을 실천할 수 있어야 하지만, 오늘날 기독교학교는 기독교적 가치관에 입각한 기독교교육을 실천할 수 없는 상황 속에 있다.
지금까지 많은 기독교교육 전공 강의를 들어왔음에도 누군가 내게 기독교적 가르침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문을 던진다면 이에 대한 답을 던지기란 쉽지 않으리라 생각했다. 내년이면 졸업을 향해 가는 4학년이지만 지금까지 나는 기독교교육이 무엇인지와 같은 정의만 내려오기에 급급했으며 기독교적 가르침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이러한 부분은 항상 나 스스로가 잘 알고 있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찜찜함으로 나와 있었지만, 누군가에게 물어보는 것이 쉽지 않았었다. 교육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이 책은 내가 가지고 있던 이런 모호한 점들에 대해 시원한 답변을 내려주었다. 사실 이 책을 펼치기 전까지 책에 대한 기대는 딱히 없었다. 그냥 내가 기존의 알고 있던 기독교교육의 내용을 다루고 있겠지라는 생각과 함께 제목이 특이하다는 단순한 생각만 했었다.
기독교적 가르침의 궁극적인 목적은 ‘학생들을 지식과 능력을 겸비한 제자도로 인도하는 것’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까지 생각했던 기독교적 가르침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깨트릴 수 있었습니다. 미션스쿨이었던 동산고등학교를 입학하였을 때, 정말이지 신세계였습니다. 내심 걱정했던 고등학교였는데, 내 상상과 많이 달랐다. 매일 아침 각자의 반에서 ‘경건회’라는 이름의 예배를 드리고, 매주 목요일 전교생이 모여 채플을 드리고, 매주 금요일 저녁식사 이후에는 ‘620 찬양예배’가 있었고, 매일 야자가 끝난 후에는 10시 기도회로 학생들이 자유롭게 기도하고 집으로 돌아갔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원에 다니며 시작하게 된 교직생활, 일을 시작한지 3년쯤 되니 어느새 익숙해진 나를 발견하게 됐다.
기쁨과 감사함으로 했던 시작과 다르게, 아이들에게 짜증내는 일이 많아졌고 아이들의 입장에서 가르치며 상담해주겠다는 첫 결심도 조금식 사라짐을 발견했다.
이런 나에게 나를 뒤돌아보며 새로운 교직관의 사명을 정리할 수 있게 된 책을 읽게 되었다. 물론 처음 시작은 교수님이 추천해주신 여러 책을 고르는 것부터 시작했지만 「긍정적인 말의 힘」, 「교사는 지성인이다」등의 여러 책을 읽은 후여서 「가르침은 예술이다」책을 사서 3월 한 달 동안 읽게 되었다.
이 책은 한국적 교육 상황에서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을 통해서 교수방법을 재정립하게 해주었다.
교단에 서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다.
임용고사를 준비하던 시절 같이 공부하던 동료들과 식사 때 틈틈이 나누던 대화 중에 ‘나중에 교사가 되면’으로 시작하는 이야기들이 참 많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IMF로 모두가 힘들어했던 고3 때 우리 세계사 선생님의 영향으로 사범대에 왔고, 하나님의 말씀이 열방으로 전파되는 과정이 너무도 감격스러워 역사라는 과목을 선택했다. 교사를 준비하고 희망하던 대학생 때에는 교단에 서기만 하면 당장이라도 학생들이 존경의 눈빛으로 우러르는 그런 ‘인생의 스승’이 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우선 임용의 문은 좁았고, 교실의 아이들은 슈퍼주니어와 소녀시대의 팬클럽이었으며, 힘들게 입성한 교무실에는 처리해야 할 공문이 산더미에 NEIS 입력의 단순 노동이 나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교직 3년차로 접어드는 이 시점에서 『가르침은 예술이다』를 읽고, 내가 생각했던 ‘이상적인 교사’와 지금의 나를 비교해보게 된 것은 굉장히 고무적인 일이었다.
기독교적 가르침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하는 교직이라는 전문직이 요구하는 헌신과 책임 인내심에 대해서 기독교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라는 것에 대해서 확실히 말해주고 있다. 대부분 초보교사들은 학생들과 지나치게 친밀한 친구처럼 지내고 싶은 유혹에 빠질 수도 있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품게 되는 ‘인기 신드롬에 대한 욕구 있지만 저자는 교수방법론에서 소홀히 취급되는 이유 즉 교사는 타고난 것이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라는 신념에 대해서 또 교수법은 개인적인 문제다, 그리스도인 교사는 자동적으로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 가르침은 단지 일련의 실제적인 요령일 뿐이다, 이론과 실제는 별개이다 등 에 대해서 몇 가지를 다루면서 기독교적 가르침은 훨씬 더 어려운 과업임을 말한다. 그리고 교사로서 구체적이고 중요한 측면에 관심을 집중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어떤 교사에게는 핵심적인 것 같이 보이는 것이 다른 교사에게는 단지 주변적인 것이 되기도 하기에 좋은 가르침에는 장기간의 주의 깊은 연구와 실습을 요구하며 기본적이며 과학적인 원리들에 대한 심오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기독교적으로 가르친다는 것은 무엇을 위미하는가?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가?를 말한다.
<중 략>
저자는 기독교 교육에서 교수방법에 대한 성찰이 결여되어 있음으로 적어도 세 가지 무관심의 결과를 초래하게 됨을 말하다. 첫째는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들의 가르침의 실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지 못하게 만들며 둘째는 다수의 교활하고 인정할 수 없는 교육철학이 학급을 포함해서 기독교 학교에 만연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가르침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견해가 무성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기독교적 가르침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돕도록 기독교적 가르침의 개념들에 말하면서 참된 기독교적 가르침은 “모든 일을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는 헌신을 요구한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