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홍대용과 1766년』은 홍대용이 1765년 11월 서울에서 출발해 1766년 2월 북경에 머물다 다시 서울로 돌아온 여정을 기록한 《연기》와 《을병연행록》을 파헤친 책이다. 《연기》는 한문으로 쓴 것이고, 《을병연행록》은 여성들도 읽을 수 있도록 한글로 다시 정리해 엮은 것이다. 그렇다면 저자는 왜...
'사대'라 함은 무역의 측면에서 볼 때 천자국에게 얻어 오는 바가 더 많았기 때문에 긍정적이다. 오랑캐가 천자의 나라에 고개를 숙인 것은 뭔가를 얻어오기 위함이었다. 한데 조선은 물질에 대한 공경이 없다. ‘빈’함을 자랑하는 이데올로기가 지배한 묘한 나라였다 . 청나라의 물질 문명, 즉 수레와 선박에 경탄한 것은 소수였을 뿐이다. 물질 문명에 대한 경시뿐 아니라 '오욕칠정'에 대해서도 감금하고 옥죄어 갔다.
<조선 사람은 둔하고 콱 막혀 말할 만한 풍류에 관한 일이 없고 몸을 닦고자 하는 일은 풍류 두 글자를 멀리하기에 말할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다. 담헌에게 인생의 최고의 가치는 도덕적 수양이기에 남녀간의 애정은 당연히 멀리해야 하는 것이었다> 인간의 욕망을 갈구하지 않으니 문명 발전이 되지 않는다. 참고 또 참고 참는다. 그러니 개선이 없음이 당연하다. 참으면 되는데 왜 굳이 환경을 변화시키려고 하겠는가? 반도의 조선인은 왜 욕망을 긍정하지 못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