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7)
  • 리포트(7)
EasyAI “蚤曰批勒” 관련 자료
외 3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蚤曰批勒" 검색결과 1-7 / 7건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사개론 제6장 전기 중세국어 요약문
    - 운미가 ‘ㄱ’으로 나타나는 경우(ex1) 蚤曰批勒(조왈비륵) → ‘15세기 벼룩’(ex2) 低曰?則(저왈내즉) → ‘나ㅈㆍㄱ’- 운미가 ‘ㄱ’으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ex) 尺曰 ... ) ‘犬曰家?(견왈가희)’는 중세국어의 ‘가히(犬)’에 대응- ‘家?(가희)’와 ‘犬’의 의미가 통함(ex2) ‘刀子曰割(도자왈할)’과 중세국어 ‘갈’(ex3) ‘傘曰聚笠(산왈취립 ... )’과 중세국어 ‘슈룹’(ex4) ‘水曰沒(수왈몰)’과 중세국어 ‘믈’3) 입성자(入聲字)? 송대 북방음을 반영? 입성 운미가 약화되고 있던 때3-1) 운미가 *k였던 후내 입성자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04.28
  • [국어사개설] 5. 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으로 본 듯한 인상을 줌.예) 犬曰家?(태왈가희) → 가히(犬)[후기 중세 국어]: ‘家?’의 의미가 ‘犬’과 통함.3) 입성자의 표기① 후내입성자- 운미 *k → ‘ㄱ’예) 蚤曰批勒 ... ) 天曰漢捺(하늘)花曰骨(꽃)雲曰屈林(구름)7) 이 책의 올바른 해독이 갖는 의의① 송나라 개봉음의 재구② 국어사의 관점에서의 재구(2) 『향약구급방』1) 우리나라의 오랜 의약서2 ... 고대의 음독자를 거의 사용하지 않음.③ 우리나라 사람들은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았음.예외) 豆[콩, 태]曰太, 升[되]曰刀→ 구어와 문어를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2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12.20
  • 계림유사의 언어관
    *ni(니)113.蚤(벼룩조)批勒벼록조(蚤)벼룩p‘i-lk*pirak/pjaruk(벼록)114.幾 (서캐 기)側根시字無字典無音釋無考혀긔()서캐tik-kn-i?115.마(두꺼비 마)鋪 ... 는 언어 때, 개성을 중심으로 한 중부방언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고려어를 한자음으로 표기한 차음표기법(借音表記法)상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발왈마제핵시(髮曰麻帝核試)’와 같이 한자음 ... 만을 빌려 표기한 것이면서도, ‘산왈취립(傘曰聚笠)’과 같은 표의성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에 실린 고려어를 올바로 해독하려면 송나라의 개봉음(開封音)을 중심으로 성운학(聲韻學
    리포트 | 26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0.09.09
  • 전기중세국어-표기법
    ’으로 표기 : 蚤曰批勒(15세기에 벼룩과 대응), 底曰?則(나?)? ‘ㅎ’으로 표기 : 尺曰作(잫)? 소실 : 射曰活索(활소-)② 舌內入聲字 : 韻尾가 t인 글자? ‘ㄹ’로 표기 ... 曰漢捺> <鬼曰幾心> <斗曰抹> <弓曰活> 등이다. 단행본으로는 전하지 않으나 명나라 때 편찬된 《설부》, 청나라 세종 때의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 등에 수록되어 있 ... 성을 띠고 있다.?사 례ㆍ犬曰家?(견왈가희;'개는 집의 큰 돼지을 일컫는다.')-후기중세국어 가히(犬)와 대응 됨.ㆍ刀子曰割(도자왈할;'칼을 할이라 일컫는다.') - ‘갈’과 대응 된다
    리포트 | 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8.04.22
  • [중국어]중국 입성자 200개
    入聲번호한자음중국음뜻성조17韻자원1脚각jiao다리3藥形聲 月(肉)+却( ) ' '은 무릎걸음으로 뒤로 물러감의 뜻. 뒷걸음질 칠 때에 사용하는 육체의 부분. '정강이'의 뜻을 나타냄.2閣각ge누각2藥形聲 門+各 '各'은 외부로 튀어 나오다의 뜻. 문 있는 데에 내밀고 ..
    리포트 | 13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03.12.29
  • [국어국문] 중세국어 자료 (계림유사·조선관역어·향약구급방·향약집성방)
    曰潑, 石曰突, 馬曰末, 斗曰抹, 針曰板捺, 猪曰突, 花曰骨,五曰打戌, 六曰逸戌, 尺曰作, 蚤曰批勒, 炭曰蘇戌, 箸曰折이것은 먼저 중국말을 보이고 다음에 한국말(고려말)을 한자음 ... 는 있다. '역어(譯語)' 부분도 판본에 따라 어휘배열 체제가 다르나 대부분은 '方言'이라고 작은 제목을 쓴 밑에 '천왈한날(天曰漢捺)'로 시작하여 '천왈이저(天曰 低)'로 마친다 ... 類를 채록하고, 313항부터는 用言類와 단구(短句)를 채록했다. 고구려의 한자 借音表記의 예로는 '귀왈기심(鬼曰機心)'·'두왈말(斗曰抹)'·'궁왈활(弓曰活)'·'백활온(百曰溫)'·'산왈매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6.15
  • 고려시대 어휘자료연구
    , 高曰那奔, 黃曰那論, 被曰泥不, 刀曰割,弓曰活, 足曰潑, 石曰突, 馬曰末, 斗曰抹, 針曰板捺, 猪曰突, 花曰骨,五曰打戌, 六曰逸戌, 尺曰作, 蚤曰批勒, 炭曰蘇戌, 箸曰折이것 ... )』(1928)속에도 끼여 있는데, 판본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 는 있다. 역어(譯語) 부분도 판본에 따라 어휘배열 체제가 다르나 대부분은 方言 이라고 작은 제목을 쓴 밑에 천왈한날(天曰漢捺 ... ) 로 시작하여 천왈이저(天曰 低) 로 마친다.(3) 構成총 301개의 어휘가 수록되어 있으며 天文·地理·花木·鳥獸·蟲魚·器用·人物·身 體·衣服·飮食·文史 등 18항목으로 나뉘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4.18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