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음식의 세계화
- 최초 등록일
- 2008.12.16
- 최종 저작일
- 2008.10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한국 전통음식의 세계화 방법에대해 알아보고
실질적인 예를 들어 보인다.
목차
Ⅰ. 서론
1) 들어가며
2) 한국의 음식, 식문화가 세계화가 되어야 하는 이유
-첫째, 영양, 문화적인 측면
-둘째, 한국 식품으로 국가 이미지 제고
Ⅱ.본론
1)한국음식의 세계화 방안
(1)입맛과 기호조사
(2) 현지화와 퓨전화
(3)간편화
(4)조리방법과 단위, 주방기구의 표준화
(5)한식 전문 인력 양성
(6) 외국사례 벤치마킹
(7) 한국 음식의 문화 상품화
(8)서비스 개선
(9) 홍보방법
(10) 시장 다변화
(11) 음식산업 종합대책
2)한국음식의 상품화 국계화 사례
※외국계 기업의 한국음식의 국제화
-한국음식을 판매하는 일본회사
Ⅲ.결론
1)전통외식산업의 SWOT 분석
본문내용
Ⅰ. 서론
1) 들어가며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3가지 요소는 의, 식, 주 라고 말한다. 그중에서 `식` 은 생명을 유지해 가는데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과거에서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에도 인간에게 음식은 절대 없어선 안 될 존재일 것이다.
오늘날 적지 않은 사람들이 밥과 국 대신 토스트와 오렌지 주스 혹은 커피로 이루어진 `continental breakfast`로 아침을 먹고 점심으로는 햄버거를, 그리고 저녁으로는 피자나 초밥을 먹는다. 적어도 우리의 식탁에서는 이미 세계화가 이루어진 셈이다. 한 끼의 식사는 이제 단순히 배를 채우는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스파게티와 피자를 통해 이탈리아를 가깝게 느끼고, 초밥을 통해 일본을 가볍게 느낀다. 베트남과 멕시코는 각기 쌀국수와 나초를 통해 우리에게 다가왔다. 이처럼 하나의 음식은 한 국가를 소개하는 훌륭한 문화대사 역할을 하며 곧 나라의 정체성과 연결된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음식의 세계화는 우리나라의 음식을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를 더 널리 알릴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최근의 한류 열풍으로 한식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한식당은 중국 최고위층이 찾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고, 미국에서는 저칼로리 장수 음식으로 한식을 찾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외국 업체들이 우리 전통음식을 자기네 음식화해 세계화에 나서고 있는 일 발생하고 있다. 한식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많이 알려져 있다. 일본을 비롯한 적지 않은 지역에 김치가 수출되고 있으며 비빔밥은 미국에서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중국 음식이나 일본 음식에 비하면 한식이 차지하는 자리는 아직도 미미하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처지기 때문에 음식도 덜 알려졌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보다 후진국으로 분류되는 인도, 태국, 베트남, 멕시코의 음식들도 세계 각지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이들은 음식으로는 이미 선진국인 것이다.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kfjjh81/40049807660
http://cafe.naver.com/kblee480
인터넷뉴스 스포츠칸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음식의 상품화,국제화 전략
한국음식 세계인의 식탁으로 -김재수 저 (백산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