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화론의 정의와 역사
#2 창조론의 정의와 역사
#3 창조론과 진화론의 쟁점들
#4 창조론과 진화론의 교육문제
#5 생각해볼 문제
#6 참고자료
본문내용
■ 대표적인 창조 과학자
※ 헨리 모리스 (Henry Morris) : 현대 창조과학 운동의 아버지
많은 훌륭한 책들의 저자요, 과학자요, ICR(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의 설립자인, 그리고 ‘현대 창조과학 운동의 아버지’로서 간주되고 있는 헨리 모리스 박사는 몇 번의 작은 뇌졸중 후에 2006. 2. 25일 87세의 나이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헨리 모리스(Henry Morris, 수력학, 라이스 대학) 박사와 존 휘트콤(John Whitcomb) 박사는 1961년에 함께 저술한 ‘창세기 대홍수(The Genesis Flood)’ 라는 책을 통하여 잠자고 있던 교회를 흔들어 깨웠다. 많은 사람들은 그 책의 출간이 현대 창조과학 운동(modern creationist movement)의 시작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그 책은 오래된 연대에 반대되는 증거들과 한 번의 전 지구적인 대홍수 격변을 찬성하는 과학적인 명백한 증거들을 제공했다. 1970년에, 헨리 모리스는 그의 창조과학 사역에 전념하기 위해서 토목공학(civil engineering)부의 장을 맡고 있었던 버지니아 공대(Virginia Tech)를 떠났다. 버클리 대학(UC Berkeley)의 생화학자였던 듀안 기쉬(Duane Gish) 박사와 함께, 모리스는 미국창조과학연구소(ICR,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를 설립하였다. 미약하게 시작했던 ICR은 점점 성장하여, 세계에서 선도적인 창조과학연구소가 되었고, 이제는 박물관과 대학원을 가지게 되었다. 모리스와 기쉬는 미국 전역을 다니며 대학 캠퍼스에서 수많은 과학자들과 창조/진화 토론을 벌였다. 문자적 성경 해석과 기독교관을 견고히 하며, 진화론적 과학과 역사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고 있는 그의 50여권이 넘는 책들은 일반 독자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사람들을 만나면 부드럽고 온화하면서도, 펜을 들면 강하고 견고했던 헨리 모리스는 마지막 숨을 거두기 몇일 전까지도 저술 작업을 하였다. 그가 저술했던 주제들의 폭과 깊이는 탁월하고 깊었다. 그의 정신은 87세의 나이에서까지 날카롭고 명철했다.
참고자료
· 『기원 과학』 한국창조과학회 저, 두란노
· 『젊은 지구』 John D. Morris 저 / 홍기범, 조정일 역, 한국창조과학회
· 『창조과학 콘서트』이재만 저, 두란노
· 조선일보 2004년 11월 4일 ‘마이클 루스 대담’
· 사이언스 타임즈 이종호의 `과학이 만드는 세상` 22회(2005년 1월 3일)~26회 (2005년 1월 31일)
· 국민일보 2003년 2월 9일 ‘창조론 교과서의 노력‘
· http://www.kacr.or.kr (한국창조 과학회)
· http://www.icr.org (미국 창조과학회)
· http://www.racs.org (한국과학기술원 창조과학연구회)
· http://www.theorich.or.kr (한국 창조사학회)
· http://www.rathinker.co.kr (합리주의자의 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