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2. 민족의 수난과 신동엽 생애
3. 신동엽 시 세계의 특징
4. 신동엽의 시 정신
5. 신동엽의 작품세계
1) 전경인정신(全耕人精神)
2) 역사인식과 60년대 참여시
3) 작품속의 여성관
4) 지상과 천상의 이미지
6. 나 가 며
본문내용
4.19혁명에서 3.1운동을 거쳐 갑오동학농민까지 거슬러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하늘의 의미는, 그리고 하늘의 역할은 사멸화하지 않는 영원한 이상, 생명, 자유, 사랑 등이 짙게 복합된 인간 본래의 생존을 뜻하기도 하고 비약적으로 표현한다면 영원한 민중성의 여러 요소를 다 뜻한다고도 볼 수 있다. 우주섭리의 차원에서나 종교적인 차원에서 하늘이 절대적인 존재이듯이 인간의 생명은 개인 생활에 있어서나 공동집단의 생활에 있어서나 절대적인 존재인 것이다. 이에 비해 땅은 현실의 질곡, 억압과 핍박의 공간이었다. 그러므로 하늘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인간의 생명이 인간의 생명답게 존재하지 못할 때에는 그것을 찾거나 쟁취하기 위해서 저항하고 분노한다. 이 영원한 하늘(생명)을 다시 되찾기 위해서 시인은 공동의식의 관련 속에서나 개인 홀로의 위치에서나 분노를 능동적으로 촉발하고 능동적으로 저항한다. 이것이 바로 인간 삶의 근원인 자주성의 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시에서는 공동집단의식에서의 분노며 저항으로 일관되어 있다.
인간 본연의 권리는 정권의 틀 속에서 권력자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짓밟힐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적인 인권은 국가권력 이전부터 존재하는 자연권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연권은 권력이 지니고 있는 본원적인 단죄로 인하여 짓밟힐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적인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 인권은 어떤 야만적 행위나 모독적 행위 아래서 억눌릴 수 없기 때문에 개인의 양심에 따라 저항하고 분노한다. 이러한 개인의식은 점차로 공동의식을 형성하고 거대한 민중과 혈연관계를 맺는다. 이것이 [금강]에 흐르는 중심내용이며 흐름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