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민족시인 신동엽
- 최초 등록일
- 2007.12.05
- 최종 저작일
- 2007.06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
목차
1. 들어가며
2. 민족의 수난과 신동엽 생애
3. 신동엽 시 세계의 특징
4. 신동엽의 시 정신
5. 신동엽의 작품세계
1) 전경인정신(全耕人精神)
2) 역사인식과 60년대 참여시
3) 작품속의 여성관
4) 지상과 천상의 이미지
6. 나 가 며
본문내용
4.19혁명에서 3.1운동을 거쳐 갑오동학농민까지 거슬러 올라가면서 나타나는 하늘의 의미는, 그리고 하늘의 역할은 사멸화하지 않는 영원한 이상, 생명, 자유, 사랑 등이 짙게 복합된 인간 본래의 생존을 뜻하기도 하고 비약적으로 표현한다면 영원한 민중성의 여러 요소를 다 뜻한다고도 볼 수 있다. 우주섭리의 차원에서나 종교적인 차원에서 하늘이 절대적인 존재이듯이 인간의 생명은 개인 생활에 있어서나 공동집단의 생활에 있어서나 절대적인 존재인 것이다. 이에 비해 땅은 현실의 질곡, 억압과 핍박의 공간이었다. 그러므로 하늘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인간의 생명이 인간의 생명답게 존재하지 못할 때에는 그것을 찾거나 쟁취하기 위해서 저항하고 분노한다. 이 영원한 하늘(생명)을 다시 되찾기 위해서 시인은 공동의식의 관련 속에서나 개인 홀로의 위치에서나 분노를 능동적으로 촉발하고 능동적으로 저항한다. 이것이 바로 인간 삶의 근원인 자주성의 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시에서는 공동집단의식에서의 분노며 저항으로 일관되어 있다.
인간 본연의 권리는 정권의 틀 속에서 권력자의 무자비한 탄압으로 짓밟힐 수는 없다. 왜냐하면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적인 인권은 국가권력 이전부터 존재하는 자연권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연권은 권력이 지니고 있는 본원적인 단죄로 인하여 짓밟힐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적인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 인권은 어떤 야만적 행위나 모독적 행위 아래서 억눌릴 수 없기 때문에 개인의 양심에 따라 저항하고 분노한다. 이러한 개인의식은 점차로 공동의식을 형성하고 거대한 민중과 혈연관계를 맺는다. 이것이 [금강]에 흐르는 중심내용이며 흐름이다.
참고 자료
조항순, 「신동엽시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오신숙, 「신동엽 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강은교, 「신동엽 시의 장르적 특성」, 『사회적 상상력과 한국시』, 소명출판, 2002
김준오, 『신동엽 - 60년대 의미망을 위하여』, 건국대학교출판부, 1997
최승호, 박현수외 『한국현대시인론2』, 도서출판 다운샘, 2005
구중서, 강형철 외 『민족시인 신동엽』,소명출판, 1999
강은교, 『시인신동엽』, 현암사, 2002
강형철, 『4월의 인물 신동엽』, 문화관광부, 2005
엄은경, 「1960년대 참여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