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과 박정희 정권의 농촌근대화정책
*명*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저의 졸업논문입니다. 각주, 서론, 본론 , 결론 완벽합니다...참고문헌도 많고요...레포트용으로도 좋습니다,,,A+ 보장!
목차
Ⅰ. 머리말Ⅱ. 새마을운동 이전 한국농촌의 사회경제적 상황
1. 농촌통제
2. 마을
3. 농민
Ⅲ. 새마을운동의 시작
1. 새마을운동 이전의 지역개발사업
2. 재건국민운동과 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
3. 새마을운동의 시발
Ⅳ.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
1. 1973년까지의 새마을운동
2. 1974년 이 후 새마을운동의 확대
Ⅴ. 농촌사회의 변화 - 새마을운동의 명암
1. 농촌 생활환경의 변화
2. 새마을운동의 경제적 성과
3. 농가경제의 파탄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박정희와 그가 이끌어가던 유신체제는 한국현대사에 있어 가장 논쟁이 되는 주제 중 하나이다. 한국 근대화의 영웅으로 끊임없는 박수갈채를 받는가 하면, 또 한편으로는 한국의 ‘기형적’ 근대화를 만들어낸 원흉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논쟁의 무게 중심은 항상 공업화와 외적 경제성장으로만 쏠려있는 느낌을 준다. 사실 도시화와 공업화에 대한 인적 기반을 제공하며 희생을 강요당한 농촌문제는 도외시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흥미로운 것은 한국 경제성장이 농촌의 희생을 바탕으로 했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도 농촌사회에서 박정희에 대한 지지도는 여전히 높은 편이며 그에 대한 향수도 짙게 남아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박정희 정권이 1970년대 농촌을 대상으로 한 여러 경제 정책, 특히 새마을 운동으로 대표되는 농촌근대화정책과 깊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농촌정책과 새마을 운동을 시기별 전개과정과 그에 대한 의의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새마을운동은 박정희 스스로가 가장 성공적인 정부정책이었다고 자평한 것임에도, 최근에 진행된 연구들에서는 그 부작용과 한계, 나아가 정부주도의 ‘강제된 근대화’에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은 정부의 의지와 정책 실시, 그리고 농민의 수용과 반응에 대해 입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새마을운동은 당시 정권의 강력한 의지 하에 실시된 것이었고, 그에 따라 정부 주도의 여러 보고서와 연구논문들도 많이 나와있다. 대표적으로 새마을운동의 주무부처였던 내무부는 1970년대 후반기를 농촌 새마을운동의 ‘자립완성의 단계’로 공식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내무부, 『새마을운동 10년사』, 1980; 내무부, 『새마을운동 연구보고서』, 1981.
. 즉 이 시기는 농촌 생활환경 혁신, 소득구조 개선, 의식구조 개조작업이 성공적으로 일단락된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의 절정기로 파악되고 있다
참고 자료
내무부, 『새마을운동 10년사』, 1980; 내무부, 『새마을운동 연구보고서』, 1981.브란트, 「새마을운동의 주도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새마을운동 연구논총』제 7집 4권, 1980.
이만갑, 『공업발전과 한국농촌』,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김일철, 「70년대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과 농촌사회의 변화」『해방 후 도시성장과 지역사회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병태, 『운중 김병태저작집 1』, 백산서당, 1992.
박진도, 한도현,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역사비평』47호, 1999.
최재석, 『한국농촌사회연구』, 일지사, 1975, p. 571.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pp. 123-124.
조갑제, 「박정희와 김영삼의 화해」, 『월간조선』 1993년 11월호
중앙일보 특별취재팀, 『실록 박정희』, 중앙 M&B, 1998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인물과 사상사, 2002
유병용 외, 『근대화전략과 새마을운동』, 백산서당, 200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의 농촌개발 1970-79: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1979.
김인진, 「새마을운동을 통해서 본 한국사회의 근대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박섭, 이행 「근현대 한국의 국가와 농민 새마을운동의 정치사회적 조건」『한국정치학회보』Vol.31 No.3, 1997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경제]한국의 경제발전과 새마을운동 10페이지
- [사회과학]지역사회개발의 특성과 새마을운동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16페이지
- 새마을운동 의의와 특성 및 성과와 평가 10페이지
- [북한] 천리마운동과 새마을운동의 비교 5페이지
- [지역개발정책]지역개발로서의 새마을 운동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