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한국사상]보조국사 지눌

*천*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06.03.04
최종 저작일
2005.04
17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4,9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국사는 의종(毅宗) 12년(1158)에 태어나 희종(熙宗) 6년(1210)에 돌아가셨다. 4대에 걸쳐 불과 52년이라는 짧은 주세 기간이었다. 그러한 이 시대는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안정과 평화가 유지되기보다는 오히려 불안과 변화의 소용돌이가 연속되고 있던 시대이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불교의 수행과 학문적 발전을 기대할 수 없었고 오히려 더욱 타락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국사가 태어나기 바로 전의 시대만 하더라도 인종(仁宗:1122-1146)은 훌륭한 내치로써, 유학과 문학을 진작하고 그 스스로 검약(儉約)과 소박(素朴)한 생활을 하였으나 외척(外戚) 이자겸(李資謙)에게 권력을 맡겨 이자겸의 난을 자초하였다. 또한 묘청(妙淸) ․ 백수한(白壽翰)의 음양설(陰陽說)을 혹신(惑信)하여 결국 묘청난(妙淸亂)을 맞이하게 되었고 이것으로 인하여 왕권의 쇠약이 가속화되므로 하극상(下剋上)의 풍조가 조장되어 무인의 난과 지방의 동란까지 일어나게 되었다. 불교와 왕실과의 관계에 있어서 불교는 통일 고려국가를 탄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고려의 귀족사회가 점점 난숙하여 감에 귀족과 사원과의 유대관계는 더욱 심화되었다. 외척 인주(仁州) 이씨(李氏)와 이에 대한 반대세력인 안산(案山) 김씨(金氏)를 비롯하여 왕실이 각기 법상종(法相宗)과 화엄종(華嚴宗)에 연결되면서 각 사원이나 교단들이 그들 귀족들의 정치적 싸움과 서로 복잡하게 얽혀갔다. 그 예로서 인종 때 이자겸의 난시 그의 아들이 승의장(僧義將)으로서 현화사(玄化寺)로부터 승 300명을 이끌고 궁성 밖에 왔다는 기록을 보아서도 그 당시 승과 왕실의 귀족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이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2. 고려의 불교(高麗佛敎)
3. 지눌의 생애
4. 심 성 론
5. 돈오점수
6. 권수정혜결사(勸修定慧結社)
7. 간화론
8. 지눌과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비교
9. 지눌의 영향
10. 지눌의 저서
참고서적

본문내용

지금으로부터 약 840년 전인 고려 중엽 제18대 의종 12년(1158) 황해도 서흥군에서 당시 국학(國學-지금의 대학 및 대학원과 같은 기관으로 신라 및 고려에서 쓰던 이름. 조선시대의 성균관)의 학정(學正-국학 및 성균관 안에서 종사하는 정 8품의 벼슬)인 정광우를 아버지로 부인 조씨를 어머니로 하여 태어났으나, 태어날 때부터 허약하고 병이 잦아 백방으로 약을 썼으나 효험이 없었다. 부친은 부처님 전에 맹서하기를 "병만 나으면 자식을 부처님께 바치겠으니, 병만 낫게 해달라"고 기도하였다.
이후 아이의 병은 깨끗이 나았고, 이리하여 아이는 나이 겨우 여덟 살 되던 해에 부모가 정해준 대로 조계(曹溪-六祖 혜능을 지칭)의 먼 제자인 종휘(宗暉) 선사에게 의지하여 출가하였으니, 그가 바로 후에 한국불교의 중흥조로 칭송 받고 있는 목우자(牧牛子)지눌(知訥)스님이다.
스님에게 있어서 스승은 자기가 배우지 못한 것을 가르쳐 주는 사람은 모두가 스승이었으며, 올바른 것을 교시해 주는 이는 모두가 그의 은사였다. 스님은 당시 불교사회의 종파적인 ........
......한국불교의 중흥조로 칭송 받고 있는 목우자(牧牛子)지눌(知訥)스님이다.
스님에게 있어서 스승은 자기가 배우지 못한 것을 가르쳐 주는 사람은 모두가 스승이었으며, 올바른 것을 교시해 주는 이는 모두가 그의 은사였다. 스님은 당시 불교사회의 종파적인 교육에서 벗어나 마음을 열고 오직 바른 진리를 찾아 자유롭게 배웠다. 당시 불교계는 의식(儀式)의 극대화로 말미암은 국가재정의 궁핍, 승려의 타락상 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한다는 불교의 진면목에서 어긋나 각 파는 명리를 선양하기에 급급하였으며, 특히 교종과 선종의 대립은 극심했다. 이에 스님은 선종과 교종의 가르침을 두루 섭렵하여 그 합일점과 조화점을 모색하였는데, 자유로웠던 배움의 자세가 이러한 작업과 신념들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참고 자료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禪思想,)』, 소나무, 2001
김교빈, 『한국철학 에세이』, 동녘, 2003
예문동양사상연구원 ․ 이덕진 편저, 『한국의 사상가 10人 : 지눌』, 예문서원, 2003
Norbert Schiffers저, 한상우 역, 『지눌과 아씨시 프란치스꼬』, 종교신학연구 창간호, 1998
추만호, 『나말려초 선종사상사 연구』, 도서출판 이론과 실천, 1992
고영섭, 『한국불학사』, 연기사, 1999
이준우, 『한국불교의 통일사상』, 五悳園, 1994
*천*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파워포인트파일 [발표만점 PPT] 한국의 불교사상 11페이지
    한국 문화 목차 원효의 화쟁사상 라말 여초의 불교 보조국사 지눌 려말 선초의 ... 한국 문화 보조국사 지눌 1) 회광반조 ( 廻光反照 ) : 빛을 돌려서 거꾸로 ... 문화 보조국사 지눌 3) 정혜쌍수 ( 定慧雙修 ) 定 과 慧 를 똑같이
  • 워드파일 불교와 인간 불교 종파에 관한 고찰 에세이 보고서 작성 5페이지
    예시로, 보조국사 지눌의 조계종과 태고 보우의 태고종이 있다. ... 한국 불교 종파의 역사 삼국 시대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대한민국의 불교에서는 ... 찾아보고 싶었고, 공통과제 제출을 기회로 나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내용인 대한민국
  • 한글파일 고려후기 불교사상 , 사회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 6페이지
    신앙결사의 유행 1) 보조국사 지눌의 수선사 결사 운동 2) 원묘국사 요세의 ... 이덕진 외 다수, 『한국사상가 10人 - 지눌』, 예문서원, 2002. ... 신앙결사의 유행 1) 보조국사 지눌의 수선사 결사 운동 무신집권기 불교계에서는
  • 한글파일 최씨 무인정권과 수선사 결사 6페이지
    길희성, 「지눌사상」, 『한국사』21권, 1996. ... 그리고 수선사를 중심으로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에 의해 시작된 결사운동과 ... 두 번째로 지눌선사의 사상은 돈오점수(頓悟漸修)이다.
  • 한글파일 일연의 자주사상 레포트 2페이지
    (普照國師) 지눌(知訥)의 사상계통에 속한다. ... 지눌(知訥)이라 하면 정혜쌍수설(定慧雙修說)인데, 일연(一然) 사상의 선( ... 주석할 때, “요사목우화상(遙嗣牧牛和尙)”이라고 한 것을 볼 때, 그는 보조국사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한국사상]보조국사 지눌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4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