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유용 방선균의 분리 및 탐색
*순*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산업적으로 유용한 방선균의 분리와 탐색에 대한 전반적인 가이드목차
1. 서 론2. 菌 分離源 수집
2. 1 시료 채취법
2.2 시료의 보존
3. 미생물 분리
3.1 미생물의 분리 목적
3.2 미생물 분리시 일반적인 고려사항
4. 방선균 분리
4.1 서론
4.2 특정 속 희소방선균의 분리
4.3 다종 방선균의 분리
4.4 균 분리원의 선정
4.5 시료의 전처리
4.6 선택적 분리 배지의 사용
4.7 적절한 배양 조건 및 배양 기간의 선택
4.8 경험적 요소와 효율적인 균 선별 작업
본문내용
미생물은 그 부가가치가 매우 높아 생물소재 산업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항생물질, 항암제와 같은 의약품과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와 같은 농약과 건강보조식품, 효소와 같은 식품소재 등 여러 가지로 사용될 수 있는 신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미생물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지금까지 10,000 여종의 신물질이 미생물로부터 발견되었으며 이 중 100 여종이 실용화되고 있다.방선균은 특히 2차 대사산물에 있어서 화학구조의 다양성과 수의 풍부함으로 인하여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미생물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미생물로부터 발견된 10,000여종의 생리활성물질 중 약 2/3가 방선균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앞으로도 방선균은 새로운 균주의 분리, 새로운 bioassay계의 구축, 유전자 기능에 관한 연구 등을 통하여 생물소재 산업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방선균은 그 生活環에 있어서 곰팡이와 유사한 형태의 균사를 형성하므로 과거 곰팡이로 분류된 적도 있었으나 1970년대에 이르러서 생리생화학적 분석방법이 발전됨에 따라, “세포내의 GC함량이 높고 분화하는 성질을 지닌 원핵미생물”로 인식되고 있다. 1960년대 이전에는 종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형태적 특징이 중요시되었으며, Streptomyces 속 균주가 주 연구 대상이었다. 그리고 신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은 신종 균주로 보고되기도 하는 혼란한 시기였다. 이에 국제적인 조정 작업의 필요성이 인정되었고, Gottlieb와 Shirling가 주축이 되어 ISP(International Streptomyces Project)를 수행하여 방선균 분류에 통일성을 기하게 되었으며, 1980년에는 세균 학명 승인 목록(approved list)이 발표되었다.
한편 Micromonospora 속 방선균으로부터 gentamycin이 발견되면서부터는 Streptomyces 속 이외의 소위 “희소방선균”이 많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1989년판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1)에서는 40종의 희소방선균 속이 기재되고 있으며, Streptomyces 속 중에는 70종 정도의 species가 보고되었다.
참고 자료
1. Williams, S. T. et al, 1989. Bergy`s manual of Syst. Bacteriol. 8th ed., 2463.2. Miyadoh S. 1997. Atlas of Actinomycetes. The Society for Actinomycetes Japan, Asakura publishing Co.
3. Shomura, T. 1993. Screening for new products of new species of Dactylosporangium and other actinomycetes. J. Actinomycetol. 7(2): 88-98.
4. Suzuki, K. 1993. Search and discovery of soil microorganisms which produce new bioactive substances: Selective isola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ir fermentation products. J. Actinomycetol. 7(2): 107-109.
5. Hayakawa, M., T. Sadakata, T. Kajiura, and H. Nonomura. 1991. New methods for the highly selective isolation of Micromonospora and Microbispora from soil. J. Ferm. Bioeng. 72(5): 320-326.
6. Hayakawa, M., T. Kajiura, and H. Nonomura. 1991. New methods for the highly selective isolation of Streptosporangium and Dactylosporangium from soil. J. Ferm. Bioeng. 72(5): 327-333.
7. Hanka, L. J. and R. D. Schaadt. 1988. Methods for isolation of Streptoverticillia from soils. J. Antibiot. 41(4): 576-578.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방선균]방선균 10페이지
- 방선균 분리 배양 5페이지
- [공업미생물학실험] 방선균의분리,배양양 및 관찰 1페이지
- [생물공학] 방선균 동정 및 기능성 측정 8페이지
- [생물학 식물파트]식물분류학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