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여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24.11.12
- 최종 저작일
- 2022.05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모성간호학 분만실 실습 중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입니다.
간호과정은 급성통증, 지식부족 2개이며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모두 완벽하게 작성이 되어 있습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왕절개 분만
1. 정의
제왕절개분만이랑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것이다.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상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제왕절개 분만률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다. 질을 통한 분만이 불가능하거나 권장되지 않을 때 시행하며 사전에 계획을 세워서 시행하기도 하지만 응급으로 시행을 할 수 도 있다.
<중략>
3. 분만 준비
1) 면담 : 수술 전 산부와 가족에게 수술방법과 마취방법에 관해 미리 정보를 주고 동의를 얻는다. 수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지식수준을 파악한다(수술절차, 수술 후 입원기간, 도뇨관과 정맥수액공급 등과 같이 수술 후 사용되는 기구, 신생아에 대한 기대 등). 병실 환경 소개와 산부의 활력징후, 신장과 체중을 측정한다. 과거 수술 경험,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특이체질 여부 등을 파악한다.
2) 위험요인 확인 : 산부의 영양상태(비만하거나 단백질, 비타민 결핍 등), 연령, 건강상태(심장병, 당뇨병, 빈혈, 간질환, 신장질환 등), 수분과 전해질 균형, 심리상태, 수술형태를 확인한다.
3) 수술 전 검사
소변검사 : 대사기능 및 신장기능을 사정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혈액검사 : 혈액형 검사. BUN, creatinine, CBC, 간기능검사, 혈액응고검사, B형 간염, 매독 등 전염병 검사, 경우에 따라 AIDS 검사 등
혈장 전해질
흉부 X선 : 수술 동안 호흡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산부는 산소결핍증을 겪을 수 있다.
EKG
태아심음과 자궁수축상태 모니터링
4) 수술 전 간호
수술동의서를 받고 수술 전 피부 준비를 한다. 세균 수를 감소시켜 수술 시 절개 부위로 세균 침투 가능성을 줄이려는 목적이 있다. 제왕절개 시에는 복부의 검상돌기부터 음부의 치모까지 깨끗이 삭모한다.
참고 자료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포널스출판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드럭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