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별 향토음식의 내용과 특징
2. 지역별 먹거리 축제의 종류
3. 웰빙의 정이 및 특징
4. 세계의 먹거리 축제
Ⅲ. 결론
1. 우리나라 먹거리 자원의 문제점
2. 먹거리 자원의 개발 방안
본문내용
전통음식은 불특정 다수에 의하여 그 고장의 특유한 식습관, 재료, 조리 비법 등이 함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강한 지역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몇 가지 사항이 고려된 일반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첫째, 사용되는 식품재료에 있어서 해당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는 특산품이어야 한다. 예로부터 고추, 마늘, 사과, 옥돔, 조기, 갓 등의 식품재료는 우리나라에서 전역에 걸쳐서 생산되기는 하나 각각의 재료가 영양, 의성, 영천, 제주도, 연평도, 그리고 여수 등지의 제품이 타지역에 비하여 많이 생산되며 품질이 우수하고 우월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산물이라고 칭한다. 또 다른 예로‘황태’의 경우, 원료의 채취 및 숙성 상 강원도 대관령이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역의 특산물이 될 수 있으며 영광굴 비의 경우도 같은 이유이다.둘째, 특정 지역에서 많이 생산되지 않더라도 주변 지역으로부터 많이 유입되어 특별한 조리 및 가공법에 의하여 상품으로서 개발된 경우인데, 안동의 간고등어, 그리고 춘천의 막국수 등이 있다. 안동의 경우,내륙지방이라서 고등어가 포획할 수는 없으나 고유한 숙성법을 이용하여 전통화 시킨 예이며 춘천의 경 우, 강원도 산간에서 메밀이 많이 생산되어 춘천 등지에서 많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참고 자료
강태일, “지역축제의 문화관광활성화를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경주시, 경주 한국의 술과 떡잔치 2003(자료집), 2003.
고원규, “전통축제의 관광자원화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4호, 1995.
김성기, 「관광자원론」, 서울: 기문사, 1988.
김자경, 「지구촌음식문화기행」, 서울: 자작나무, 1999.
김정옥, 「관광자원관리론」, 서울: 대왕사, 1997.
김대경, 「관광자원개발론」, 서울: 문지사, 1997.
김계섭, “이벤트관광의 프로그램개선방안 연구”, 관광학연구, 1995a.
김연식, 「한국의 사찰음식」, 서울: 우리출판사, 1997.
농촌진흥청, 「한국의 향토음식」, 1994.
문화체육부, 「한국의 지역축제」, 서울: 도서출판 피아, 1996, 1997.
텔경영학연구, 제8권 제2호, 1999.
손대현, “관광이벤트의 기획과 연출”, 관광학연구, 1997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