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고도성장기(산업정책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4.04.14
- 최종 저작일
- 2004.04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목 차
Ⅰ. 序論
Ⅱ. 日本高度成長經濟史
1.근대자본주의 정립
2.2차 세계대전후 부흥기(1945~55)
3.고도성장 달성기
1)전기 고도성장기(1956~1965)
2)후기 고도성장기(1966~1973)
Ⅲ. 高度成長經濟의背景과構造變化
1. 고도성장경제의 국제적 환경
2. 고도성장경제의 국내적 환경
3. 고도성장기 일본산업구조의 변화
Ⅳ. 日本의 高度 成長過程에서의 産業政策
1.산업적 구조
2.정치적 구조
3.각종 지원 정책
Ⅴ. 結論- 日本의 高度 成長過程에서 産業政策의 役割
목차
Ⅰ. 序論
Ⅱ. 日本高度成長經濟史
1.근대자본주의 정립
2.2차 세계대전후 부흥기(1945~55)
3.고도성장 달성기
1)전기 고도성장기(1956~1965)
2)후기 고도성장기(1966~1973)
Ⅲ. 高度成長經濟의背景과構造變化
1. 고도성장경제의 국제적 환경
2. 고도성장경제의 국내적 환경
3. 고도성장기 일본산업구조의 변화
Ⅳ. 日本의 高度 成長過程에서의 産業政策
1.산업적 구조
2.정치적 구조
3.각종 지원 정책
Ⅴ. 結論- 日本의 高度 成長過程에서 産業政策의 役割
본문내용
Ⅰ. 序論
일본경제에서 고도성장기라면 대체로 전쟁의 파괴를 회복하며 2차세계대전이전 까지에 있어서 가장 높은 생산실적을 나타냈던 1936년의 생산수준에 도달하는 1956년부터 오일.쇼크의 해인 1973년까지의 기간을 가르킨다.
이 기간 중 일본은 池田내각의 이른바“국민소득배증계획(國民所得倍增計劃)”을 성공시키는 등 연율 10% 이상의 눈부신 경제성장을 실현시킴으로써 先進圈經濟에로 진입하고 있다.국민소득배증계획에 따르면 60년대 산업정책의 방향은 첫째, 가격기구에 의한 자원배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기업의 자주적인 선택에 입각하는 이른바 자유기업체제의 창달과 둘째, 자유화추세에 걸맞는 신산업질서의 형성을 위하여, 이를테면 기업의 집중과 합병, 집단화 및 전업체제의 확립, 중소기업 규모의 적정화 및 근대화 등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에는 민간기업 활동에 대한 정부개입의 허용이란 두가지에 모아졌라고 한다.말 할 필요도 없이 이 기간 중 일본경제는 경제의 양적 성장을 달성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경공업주도의 경제로부터 중화학공업이 주도하게 되는 말하자면 산업구조의 고도화도 아울러 실현시키고 있다.
참고 자료
1.고도성장기의 일본경제 박우희외 1989 서울대학교 출판부
2.사이토 세이치로. 들녘. 1999년 일본경제 왜 무너졌나
3. 브리태니커 세계정보 1998.
4. 김성철. 『일본의 산업조정과 경제구조개혁』. 세종연구소.
5. 이지평 ,『일본산업의 과잉공급 해소방안과 시사점』,1999. 8.
6. 한국산업경제기술원 『일본의 산업정책』서울.
7. 이종훈, 日本經濟論, 法文社, 1993
8.小宮井太郞외 다수,[일본의 산업정책]중[제2장 고도성장기]p.46에서 인용
9. 日本經濟의 오늘과 내일 - 고려원, 지은이: 일본 경단련 옮긴이: 신한종합연구소(1992)
10.추락하는 일본경제.이봉구.한국경제신문사.1997
11.일본경제 실상과 허상 크리스토퍼 우드 지움 황홍선 옮김 매일경제 신문사1993
12.일본의 종합상사 이백규2001.해냄출판사
13.. 안풍모, 김인중, 박진수 『일본의 산업구조조정과 업종별 사례』서울:산업연구소
14.이종훈(1993), 일본경제론, 법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