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출혈 ICH 케이스 간호과정, 복합요인과 관련된 변비,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복합요인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임상사례 소개
II.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III. 간호진단
복합요인(장기적인 부동, 식습관의 변화, 불충분한 식이섬유와 수분 섭취)과 관련된 변비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복합요인(침습적 처치, 피부손상, 영양불균형, 면역저하)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IV. 간호과정
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뇌내출혈은 겉질하 백색질부위의 작은 동맥과 정맥의 출혈로 인해 혈액이 뇌실질조직에 축적된 것으로 뇌를 둘러싼 3종류의 막(경막, 지주막, 연막) 사이사이에서 일어나는 출혈을 총칭하여 출혈의 해부학적 부위에 따라 뇌에 생긴 뇌내출혈(ICH), 뇌막을 기준으로 두개골과 뇌막사이에 생긴 경막외출혈(EDH), 뇌막중에서도 경막 아래 생긴 경막하출혈(SDH), 지주막하 공간에 생긴 지주막하출혈(SAH), 뇌실에 생긴 뇌실내출혈(IVH)로 나눌 수 있다.
뇌출혈에는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이나 혈관종, 뇌종양, 출혈성 소인, 두부외상 등의 출혈원인이 확실한 것과, 고혈압을 기반으로 하는 고혈압성 뇌출혈(hypertensive ICH), 확실한 원인이나 기초 질환이 불분명만 특발성 뇌출혈(spontaneous ICH) 등이 있다.
대부분 두개내압 상승소견을 보인다. 뇌 CT상 혈종의 양이 많고 뇌조직의 중앙선 이동을 보이며, 의식의 변화와 국소징후를 보인다. 밀폐된 머리뼈 안에 생긴 혈액응괴는 혈종을 형성하여, 뇌조직의 압박과 전위를 일으켜 뇌혈류의 감소 및 허혈과 경색을 초래한다. 뇌 내 출혈의 약 1/2이 기저핵에서 발생하고 그 외는 시상, 소뇌반구, 뇌교 등에서 발생한다.
2. 병태생리: 뇌 내 출혈은 모든 뇌출혈의 약 10%를 차지하며 혈관 파열로 인해 출혈이 나타난다. 대부분 고혈압과 관련이 있으며 탄력이 떨어진 혈관이 혈압이 상승할 경우 파열되면서 뇌 실질 출혈로 나타난다. 가장 흔한 부위는 기저핵, 소뇌 신부, 뇌교이며 뇌 내 출혈 환자의 예후는 나쁜 편이다.
1) 출혈된 양이 큰 경우 바로 brain herniation 일으켜서 사망한다.
2) 출혈이 극소량일 경우 두강내압을 그다지 올리지 않고도 자연히 흡수된다.
3) 혈종이 중증도일 경우 뇌압은 상승하지만 바로 brain herniation 일으키지는 않는다.
→ if 서서히 뇌부종이 증가하게 되면 brain herniation 일으킨다.
참고 자료
송경애 외(2017), 최신기본간호학 Ⅰ, 수문사
송경애 외(2017), 최신기본간호학 Ⅱ, 수문사
김연숙외(2018), 건강사정 제 3판, JMK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김근수 외(2017), 성인간호학, 수문사
성미혜 외(2018),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송경애 외(2018),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약학정보사전,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