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소화와 흡수율을 고려해 인체 내 생리반응을 반영한 혈당지수는 시료 식품을 섭취했을 때의 혈당 반응과 기준 식품으로 포도당 또는 흰 빵을 섭취했을 때의 혈당 반응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현재 국외에서 당뇨환자의 식이요법과 고지혈증 환자에게도 임상적으로 활용된다. 식품을 섭취하면 나타나는 혈당 반응은 식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소화, 흡수가 느린 식품은 혈당 반응이 느리고, 소화, 흡수가 빠른 식품은 혈당 반응이 급격하고 인슐린 및 다른 내분비물과의 반응도 함께 상승시킨다.
포도당을 기준으로 한 곡류의 혈당지수 GI-glucose와 쌀밥을 기준으로 한 혈당지수 GI-rice를 조사한 결과는 <보기 1>과 같다.
참고자료
· 김도연, 이한송이, 최은영, 임현정(2015). 탄수화물 간식류 식품 및 조리방법에 따른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지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4(1), 14-22.
· 유지현, 임정은, 석완희, 이한송이, 안혜진, 김영설, 박천석, 조여원(2012). 우리나라 다빈도 섭취 과일의 당 함량 및 혈당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45(2). 193-200.
· 이정선, 신현경(1998). 곡류의 혈당지수와 전분 가수분해율과의 상관관계. 한국식품과학회지. 30(5). 1229, 1232, 123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