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웃기지 않니? 패션계와는 상관없다는 네가 사실은 패션계 고른 색깔의 스웨트를 입고 있다는 사실이? 그것도 겨우 이런 ‘물건’들 사이에서 고른 것 말이야.” - 앤디가 패션 작업을 무시하는 말을 한 순간 그녀의 반응
<특성>의 측면에서 미란다는 패션업계의 유명인사로서 성공에 대한 열망이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람에 대한 관심은 덜하고 내부 종업원에게 냉정한 반면 일에 대해서는 꼼꼼하고 완벽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업무에 대한 자부심은 굉장히 높다고 볼 수 있다.
-> 업무중심형 리더
“넌 이력서도 괜찮고, 직업윤리에 대한 네 연설도 괜찮았고 해서, 난 네가 좀 다를 줄 알았어. (중략) 어쨌든 넌 날 더 실망시켰어.”
“내가 하는 일과 할 수 있는 일을 포함해 맡을 수 있을만한 사람은 아무도 없어. 그런데도 다른 사람을 쓰겠다면 잡지사가 받을 타격을 감수 했어야 했지. (중략) 내가 런 어웨이를 떠나면 모두 날 따라오겠다고 약속했어.”
<소통>의 측면에서 미란다는 구체적인 업무 지시를 내리며, 직원의 실수나 무능력에 대한 엄격한 모습을 보이고, 독설을 내뱉기도 한다.
참고자료
· 오석홍, 조직이론(제10판), 박영사
· Stephen P Robbins, Timothy A, Judge, 조직행동론, 한티에듀
· 박소연 (2012), 대기업 신입사원 조직사회화의 장애요인 탐색, ,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산업교육연구 제24호 3월호, pp.71-8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