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교육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 - 국어과 교육에서 문법 영역의 역할에 대하여
- 최초 등록일
- 2021.03.31
- 최종 저작일
- 2021.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문법 교육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 - 국어과 교육에서 문법 영역의 역할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문법 교육 내용의 정체성을 둘러싼 여러 입장
1) 부정적 입장
2) 통합적 입장
3) 독자적 입장
4) 포괄적 입장
3. 통합적 교육으로서의 새로운 관점 제시 : ‘내용’과 ‘방법’을 포괄하는 문법 영역의 역할
4. 통합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육의 위상 재정립의 가능성
5. 나오며
본문내용
2) 문법 교육 내용의 정체성을 둘러싼 여러 입장
문법 교육의 계획하고 실천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일은 그 목표와 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문법을 왜, 무엇을 위해 가르치는가?'라고 하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일과 같다. 문법 교육의 성격 및 목표와 관련하여 그 동안 국어 교육학계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주장이 있어 왔다.
① 부정적 입장
문법 교육의 부정적 입장은 국어 지식의 교육적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그 효과에 대하여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 입장에서는 국어 교육의 목표를 국어 사용 능력 신자에 두고, 문법에 대한 학습이 이러한 기능의 신장에 기여하지 못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에 따르면 국어 교육의 목표를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 둘 경우 문법 교육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해 이성영(1995)은 이러한 연구가 1990년대 이전에 이루어진 연구로서 연구의 대상이 되었던 문법은 전통 학교 문법이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당시 연구의 대상은 현실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우리의 학교 문법에 적용하여 논의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볼 수 있다. 김광해(1997)도 논의의 범위를 국어지식 전체가 무용인 것처럼 확장한 점, 대안 없는 부정이라는 점에서 이 입장을 비판하고 있다.
참고 자료
권재일(1995), 국어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지식 영역의 지도내용, 국어교육연구 제2집, 국어교육연구소
김광해(1997), 국어지식 교육론, 서울대 출판부
이관규(1998), 학교 문법의 내용 체계, 새국어교육 제 56집 : 한국국어교육학회
이은희(1995), 문법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모색, 한국언어교육연구회 논문집 39
이성영(1995), 국어 교육의 내용 연구, 서울대 출판부
이충우(1994), 국어교육에서의 언어학, 선청어문 제22집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임지룡 외(1995),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박이정
주세형(2006),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