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과 사회
- 최초 등록일
- 2020.08.04
- 최종 저작일
- 2020.06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 론
Ⅱ.신학의 시대관
1. 1914년 이전~1920년대
2. 1940년대
3. 1960년대
4. 20세기 후반
Ⅲ.20세기의 신학과 사회
1. 윌리엄 템플(1881-1944)
2. 로널드 프레스턴(1913-)
3. 존 합굿(1927-)
4. 켄 리치(1939-)
Ⅳ. 다원주의와 사회
Ⅴ.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어떤 의미에서 신학은 신학 그 자체를 위한 상황을 형성하는 사회에 관하여 말할 수 있고 증언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여러 이론들이 있겠으나 전통적인 교회 속에서 사회를 하나님의 법이나 왕 대신 그리스도의 통치에 종속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이후로도 신학은 사회를 이끌고자 하는 면에서 종교적 체제의 본성을 표현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신학의 사회적 참여의 기원이 복잡하고 규명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하더라도 20세기를 맞이하면서 이보다 더 어려운 문제들이 신학과 사회의 관계를 압박하고 있었다. 그것은 다원적 사회가 제기하는 윤리적 물음들, 빈곤과 실업, 또한 이보다 더 강도가 높다할 수 있는 전쟁으로 인한 삶의 파괴 등인데 이것은 20세기 마지막 십년에 즈음하여 더욱 첨예화되어 환경, 페미니즘, 인종문제의 도전과 같은 논쟁들이 신학 내에서 위기의 의미를 더욱 고조시켰다. 이러한 다원적 문제는 신학자들 사이에 일치하지 않는 의견들을 논의 할 수 있는 ‘중도적 원리들’이 필요했고 이를 정식화하기 위해 탁월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Ⅱ.신학의 시대관
1. 1914년 이전~1920년대
영국 관념론 내에서의 헤겔 주의적 경향은 지배적이었으며, 주된 관심은 이러한 관념을 묶어 줄 수 있는 결합체 또는 최상의 조직이며 단일체인 ‘국가’에 있었는데 이러한 국가적 삶에서의 기독교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일, 국가적 삶의 재건 등이 주된 관심사였다.
참고 자료
제임스 우드워드, 스테판 페티슨 저, 권수영 역, “목회신학과 실천신학의 이해”, 대한기독교서회, 2007
한스 요아힘 잔더 저, 신정훈 역.“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헌장 기쁨과 희망”가톨릭대 출판, 2017
존 밀뱅크 저, 서종원 외 1명 역, “신학과 사회이론“, 새물결 플러스, 2019
성석환 저, “공공신학과 한국 사회” 새물결 플러스,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