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농정책에 따른 양곡의 증산으로 경제적인 여유가 생기고, 불교의 육성으로 육식이 절제되고, 음다의 풍습이 생기면서 떡은 한층 더 발달하게 되었다.
고려가요 쌍화점 中 "쌍화점에 쌍화사라가고 신딘 회회(回回) 아비 내 손모굴 주여이다“ - 상화병은 발효시켜 부풀린 떡임을 알 수 있고 원(元)으로부터 도입된 떡이다.
「고려사」열전(列傳) 최승로조(崔承老條)에는 광종(光宗)이 내도장(內道場)의 떡으로 걸인에게 시주하였다는 기록
-조선시대 떡
재료가 풍부해지면서 떡의 종류도 많아지고, 맛이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고려시대의 감설기떡인 시고는 한층 발전하여 부재료인 감가루, 대추 외에 밤, 귤병, 계피가루, 잣, 꿀 등의 재료를 가미시켜 떡의 맛이 너무 맛있어서 차마 삼키기 안타까워서 이름이 석탄병(惜呑餠)이라고까지 붙였다.
주재료가 쌀이나 찹쌀 또는 잡곡 외에 고구마를 이용한 떡도 있었다.
고구마를 껍질째 씻어 말려 가루로 만들어 찹쌀가루에 섞어서 찐 떡으로 남방감저병(南方甘藷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