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지배 이데올로기와 교육 :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6.07.05
- 최종 저작일
- 2016.05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Ⅱ. 교과서에 투영된 반공주의
1) 국어 교과서
2) 국사 교과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예로부터 많은 지도자들은 국가 통치에 있어 교육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즉 국가 통치 방향과 상통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지배 이데올로기와 교육이념을 결합한 것이다. 가령 한국은 전통적으로 충과 효를 중시하는 유교식 학교제도를 성립하여 왕권 강화를 도모하고, 백성들을 교화(敎化)시키고자 했다. 또한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통치기간 전반에 걸쳐 실시된 조선교육령은 그 시기에 따라 일본어 교육, 우민화 정책, 황국신민화 등을 내세웠고, 그 내면에는 식민통치를 원활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지배 이데올로기가 내포되어 있었다.
한편 광복 후 남북 분단과 이데올로기 대립이라는 상황에서 ‘반공’은 우리 사회의 가장 대표적인 지배이념으로 대두되었다. 이때 국가권력은 앞선 상황들과 마찬가지로 사회통제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교육에 대한 통제, 특히 교과서 내용에 대한 통제를 가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가 지배이념의 확산에 있어 교육정책이 담당했던 역할에 주목하여, 해방이후 유신체제까지 반공주의가 대한민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대표적인 교육 보조재인 교과서에 투영된 반공주의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이때 다양한 교과에서 반공주의적 서술을 찾을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그 범위는 국어교과서와 국사교과서로 한정지어 서술하고자 한다.
Ⅱ. 교과서에 투영된 반공주의
미군정은 광복이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등 건국 준비를 위한 민족 대표 기관을 외면하고 효과적인 한국 장악을 위한 인물 배치에 힘썼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일제의 중앙집권적 통제 아래 교육계나 행정에 종사한 경험이 있던 친일적인 인물들이 중심이 되었고, 이들은 미군정의 목적에 맞게 한반도 공산화 방지와 분단 체제 유지, 미국식 민주주의 건설의 교두보 마련을 위한 교육정책을 진행했다.
참고 자료
김동환, 「박정희시대 국가주의 교육론 연구 : 역사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김현선, 「애국주의의 내용과 변화 : 1960-1990년대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