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한국의 불교 선종사상, 지눌의 사상을 중심으로
*동*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론제1장.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제2장. 선행 연구와 연구의 내용
Ⅱ. 본론
제1장. 이론적 배경
1)선(禪)의 어의(語義) 및 의의(意義)
2)선(禪) 사상
3) 지눌의 생애
4) 선 사상의 형성
5) 지눌의 심성론
제2장. 지눌의 수행론
1) 『수심결』의 이념
(1) 정혜쌍수
(2) 돈오점수
2) 『진심직설』의 이념
(1) 진심의 본체와 작용
(2) 진심의 닦음
(3) 진심의 실천
제3장. 지눌의 선교 사상
1) 간화선의 화엄 사상
2) 한국의 선종 화엄 사상
Ⅲ. 결론 : 지눌 사상의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의 오랜 불교 전통 속에서 그 영향력을 지속하고 있는 보조국사 지눌이 살았던 당시는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등 전국적인 변란이 그치지 않았고 무신정권이 등장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극심해져 갔다. 불교계 또한 특권의식에 빠져있었으며 선교가 대립, 갈등하였고 각종 부패와 타락에서 헤어나지 못하였다. 지눌은 이러한 시대에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로 대표되는 수행론을 제시하며 불교계를 정화하고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노력한다.<중 략>
선은 필리핀어 자나(jhāna)의 음역어로 선나(禪那)라고도 한다. 삼매(三昧, Samādh) 즉정(卽定)과 동의의 말이다. 마음을 고요히 하여 한 곳에 모으고 이를 흩어지지 않게 하여 적정(寂靜)한 곳에 정지시켜 이에 전념하는 것이다. 일체의 이론, 즉 분별적 사유(思惟)를 떠난 직관이 있을 뿐 선은 학문이나 지식이 아니요, 바로 실재에 투철한 것으로 구극(究極)을 삼는다.
선은 종교라 하고, 철학이라 하고 또 예술이라고도 한다. 다 옳은 말이긴 하나, 맞은 답이라고는 할 수 없다. 철학과 종교와 예술을 초월하고 일초(一草), 일목(一木), 일동(一動), 일정(一靜), 물물두두(物物頭頭)에 아름다운 위의(威儀)를 갖춘 것이 선이다. 선이란 형식적 의례를 제하고 철학에서도 논리적 사유를 제하고 예술에서도 기교를 버린 것이라 하는 수 밖에 없다.
<중 략>
『진심직설』에는 직접 ‘돈오점수’란 말이 나타나고 있지 않다. 그래서 이상하게 생각되기도 한다. 돈오점수는 지눌의 핵심사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진심직설의 내용이 돈오점수의 체계와 전혀 무관한 것일까? 『진심직설』에서 닦음의 내용 및 구조를 면밀히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 『진심직설』에서는 ‘마음이 부처’라는 사실을 확신하고 닦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마음이 부처라는 사실의 확신이 진정한 확신이라면 단순한 이론이나 생각이 아니라 눈뜸의 차원까지 가야 한다. 『진심직설』에서 이런 믿음[信]은 앎[解]과 함께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참고 자료
강건기,「지눌의 돈오점수 사상」, 전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1985「 보조국사 지눌의 사상」, 대명고시연구회고시연구사, 1986
「기도와 수심」,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988
강건기ᆞ 김호성 편저, 『깨달음ᆞ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서울: 민족사, 1992
권기종, 「고려후기의 선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1986
「고려 후기 불교와 보조사상」, 『보조사상』, 보조사상연구원, 1989
김경집, 「경허의 정혜결사와 그 사상적 의의」, 한국불교학회, 1996
김군수, 「보조국사비명」,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김잉석, 『불일보조국사』, 서울: 불교사, 1964
김탄허, 『현토완역 보조전서』, 대전: 회상사, 1963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구조」, 『지눌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정신문화연구원, 1986
『지눌의 선사상』, 서울: 소나무, 2001
「비교사상 관점에서 본 지눌의 선사상」, 서울: 불일출판사, 2009
미찌하라 료오슈,『중국불교사』 서울: 우리출판사. 2007
박상국, 「보조국사 자눌의 생애와 저술, 보조사상연구원, 1989
성철, 『선문정로』합천:장경각, 1993
심재룡, 「頓漸觀으로 본 보조선의 위치」, 백련불교논집3, 경남: 장경각, 1993
「보조지눌, 한국 선불교 전통의 창립자」, 철학문화연구소, 2001
안진호 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사집합본』, 법륜사, 1973
야나기다 세이잔 , 『선의 사상과 역사』,서울:민족사,1998
오경태ᆞ류시화 역, 『선의 황금시대』, 서울: 경서원, 1995
이기영 역, 『한국의 불교사상』, 서울: 삼성출판사, 1984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下, 서울: 보련각, 1972
이덕진, 『보조지눌 선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1989
이종익,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1976
『普照著述의 書誌學的解題』, 보조사상연구원, 1989
이종익, 「보조국사의 불교관」, 서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72
정성본, 『중국선종성립사연구』, 서울: 민족사, 2000
『간화선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5
정유진, 『선학개론』, 서울: 경서원, 2007
지눌, 「화엄론절요」,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수심결」,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수심결』, 서울: 삼성출판사, 1984
「권수정혜결사문」,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간화결의문」,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채상식, 『고려후기 불교사상연구」, 서울: 일조각, 1991
최병현, 「지눌의 불교 사상 체계와 불교 토착화의 문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2
한기두, 『한국 불교사상 연구』,서울: 일지사,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