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건기,「지눌의 돈오점수 사상」, 전북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1985
· 「 보조국사 지눌의 사상」, 대명고시연구회고시연구사, 1986
· 「기도와 수심」,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988
· 강건기ᆞ 김호성 편저, 『깨달음ᆞ 돈오점수인가 돈오돈수인가』, 서울: 민족사, 1992
· 권기종, 「고려후기의 선사상 연구」, 동국대학교, 1986
· 「고려 후기 불교와 보조사상」, 『보조사상』, 보조사상연구원, 1989
· 김경집, 「경허의 정혜결사와 그 사상적 의의」, 한국불교학회, 1996
· 김군수, 「보조국사비명」,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 김잉석, 『불일보조국사』, 서울: 불교사, 1964
· 김탄허, 『현토완역 보조전서』, 대전: 회상사, 1963
·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 구조」, 『지눌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정신문화연구원, 1986
· 『지눌의 선사상』, 서울: 소나무, 2001
· 「비교사상 관점에서 본 지눌의 선사상」, 서울: 불일출판사, 2009
· 미찌하라 료오슈,『중국불교사』 서울: 우리출판사. 2007
· 박상국, 「보조국사 자눌의 생애와 저술, 보조사상연구원, 1989
· 성철, 『선문정로』합천:장경각, 1993
· 심재룡, 「頓漸觀으로 본 보조선의 위치」, 백련불교논집3, 경남: 장경각, 1993
· 「보조지눌, 한국 선불교 전통의 창립자」, 철학문화연구소, 2001
· 안진호 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사집합본』, 법륜사, 1973
· 야나기다 세이잔 , 『선의 사상과 역사』,서울:민족사,1998
· 오경태ᆞ류시화 역, 『선의 황금시대』, 서울: 경서원, 1995
· 이기영 역, 『한국의 불교사상』, 서울: 삼성출판사, 1984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下, 서울: 보련각, 1972
· 이덕진, 『보조지눌 선사상 연구』, 고려대학교, 1989
· 이종익,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1976
· 『普照著述의 書誌學的解題』, 보조사상연구원, 1989
· 이종익, 「보조국사의 불교관」, 서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72
· 정성본, 『중국선종성립사연구』, 서울: 민족사, 2000
· 『간화선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5
· 정유진, 『선학개론』, 서울: 경서원, 2007
· 지눌, 「화엄론절요」,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 「수심결」,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 『수심결』, 서울: 삼성출판사, 1984
· 「권수정혜결사문」,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 「간화결의문」, 『보조전서』, 보조사상연구원, 1989
· 채상식, 『고려후기 불교사상연구」, 서울: 일조각, 1991
· 최병현, 「지눌의 불교 사상 체계와 불교 토착화의 문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2
· 한기두, 『한국 불교사상 연구』,서울: 일지사,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