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계화의 문제제기
2. 세계화의 개념과 특징
3. 세계화의 영향
4. 대안모색
5. 결론
본문내용
20세기 냉전체제 종식과 함께 세계의 주된 관심은 이념구현에서 경제번영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주요한 원리는 세계화라는 이데올로기이다. 본 레포트는 ‘세계화 이데올로기가 세계경제를 번영시키는 패러다임인가, 아니면 다른 대안적 패러다임의 모색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화를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세계화가 자유로운 시장의 교환을 보장함으로써 개별 경제주체의 이익의 극대화, 높은 효율을 통한 수익의증가, 소비자 만족 증대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경제 전체를 번영시킨다는 소위 Postive-sum game으로 이해하고 있다. 반면 세계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입장에서는 세계화가 매우 효율적인 자본시장만을 보장함으로써 세계경제를 더욱 불평등하게 하고, 세계경제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Zero-sum game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이 세계화를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전략으로 인식하는 현 상황에서 세계화가 초래하는 부정적 영향을 고찰하고, 그에 대응하기 위한 적절한 대안을 모색한다. 세계화는 거스를수 없는 대세이다. 문제는 어ᄄᅠᇂ게 세계화를 저지하느냐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세계화를 모든 국가가 win-win하는 게임으로 작동 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은 세계화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세계화 속에 필요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여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추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이에 따른 세계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Ⅰ. 세계화의 문제제기
20세기 냉전체제 종식과 함께 세계의 주된 관심은 이념구현에서 경제번영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의 가장 주요한 원리는 세계화(Globalization)라는 이데올로기이다.
일반적으로 세계화를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세계화를 세계적으로 자유민주주의의 확대, 높은 효율을 통한 수익의 증가, 소비자 만족의 증대, 상호 문화교류를 통한 국가 간이해의 증대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세계경제 전체를 번영시킨다는 소위 positive-sum Game으로 이해하고 있다.
참고 자료
강인수외 9명, 박영사, 국제통상론6판, 2014
구종순, 박영사, 무역실무, 2013
기남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세계화가 민주주의와 부패에 미치는 영향, 2013.8
김관호, 박영사, 세계화와 글로벌 경제, 2003
김미경,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2010
네이버 지식백과, (www.terms.naver.com/)
리스본 그룹 보고서, 경쟁의 한계, 바다출판사, 2000
레베카 토드 피터스 , 좋은 세계화 나쁜 세계화, 새물결플러스, 2012
박현정, 한겨례, 신문사보이지 않는 존재를 보이게 하라, 2014.3
손정수, 이상학, 조정란, 경기개발연구원, GRI 연구논총, 2013
신현종,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영상저널, 1998
위키피디아, (www.ko.wikipedia.org/wiki/)
정승일, 왜 세계화가 문제일까, 반니, 2013
카를 알브레히트 이멜, 세계화를 둘러싼 불편한 진실, 현실문화연구, 2009
피터고완, 세계없는 세계화, 시유시, 2001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011.8
한독경상학회, 경상논총, 2003
황준성, 경상논총, 세계화의 비판적 고찰과 대안의 모색, 2003.11
CCTV경제30분팀, RHK, 무역전쟁, 2011
UNCTAD, (www.uncta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