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양극화][경쟁자][CRM]백화점의 분류, 백화점의 양극화, 백화점의 경쟁자, 백화점의 현황, 백화점의 CRM(고객관계관리), 백화점의 전략, 향후 백화점의 발전 방향
- 최초 등록일
- 2013.07.24
- 최종 저작일
- 2013.07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7,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백화점의 분류
1. 전통적 백화점(traditional department store)
2. 전국연쇄 백화점(national chain department store)
3. 완전계열할인 백화점(full-line discount department store)
Ⅲ. 백화점의 양극화
1. 고급 백화점의 현황
1) 점포확장
2) 귀족마케팅 전략
3) 적극적인 신기술 도입
2. 저가백화점의 현황
Ⅳ. 백화점의 경쟁자
1. 기존유통업체
1) 롯데
2) 신세계
3) 현대
4) 미도파
5) 뉴코아
6) 한양
2. 신규진입
1) 삼성
2) 대우
3) LG
4) 선경
5) 코오롱
6) 나산
7) 거평
3. 외국업체
1) 백화점
2) 양판점
3) 대형슈퍼마켓
4) 편의점
5) 하이퍼마켓
6) 전문점
Ⅴ. 백화점의 현황
Ⅵ. 백화점의 CRM(고객관계관리)
1. 정의
2. 기업의 고객관리 변화
3. 구축효과
1) 상당한 시간 절감의 효과
2) 고객접근 최접점서 고개정보 활용
Ⅶ. 백화점의 전략
1. 고급품의 중독증을 고쳐야 한다
2. 중견메이커의 육성을 서둘러야 한다
3. 상품 구성의 의사결정
4. 인재의 육성에 투자해야 한다
5. 유통시장의 개방에 대하여 철저히 대비하여야 한다
6. 돈, 상품, 정보의 유통
Ⅷ. 향후 백화점의 발전 방향
1. 새로운 상권으로의 진출이 필요하다
2. 경쟁력 있는 유통업태로의 사업다각화가 필요하다
3. 점포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4. 백화점의 유통지배력 강화가 필요하다
5. 유능한 인력의 개발이 필요하다
6. 백화점의 사회적인 이미지 제고가 필요하다
Ⅸ.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조선시대에 종로통을 지배하고 있던 육의전이 금난전권을 행사하면서 서울지역 상권을 쥐고 있었고 전국적으로는 보부상이라 불리는 행상들이 떠돌아다니고 있었지만 본격적이고 현대적인 의미의 유통이라고 볼 수는 없었다. 우리나라 근대적 유통기관의 효시는 1930년 현재 신세계백화점 자리에 건립된 일본 ‘미쓰코시백화점’경성지점이다. 2년 뒤인 32년 한국인이 경영하는 화신과 동아백화점이 설립됐으나 같은 해에 화신은 동아백화점을 흡수합병했다. 당시 화신백화점은 점포 규모와 상품 구색, 매장 구성, 판촉행사, 판매와 경영방식에서 후진성을 면치 못했다. 특히 일제 말기 침략전쟁을 위한 물자 동원과 상품 수탈로 근대적인 소매업태로 발달하지 못하고 단절되었다.
해방 이전에 생긴 연쇄화사업이나 백화점은 해방 이후 사회혼란과 전쟁 등으로 오히려 퇴보하여 한동안 화신이 주도하던 연쇄화사업은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쇠퇴했다. 화신백화점은 해방 이후 일본계 백화점 이상으로 수난을 겪었고 6?25전쟁으로 인한 피해로 직영체제를 포기하고 매장을 임대했다. 미쓰코시는 45년 동아백화점으로 상호가 바뀌어 운영되다 55년 정식으로 문을 열었고 이에 앞서 54년 미도파백화점이 개점했다. 당시 백화점들은 본래 의미의 백화점과는 거리가 멀었는데 엄밀히 말하면 매장 임대식 단일 건물에 가까웠다. 백화점 운영은 해방 이후 오히려 퇴보했다고 볼 수 있으며 직영백화점 탄생은 동화의 주인이 바뀌어 신세계백화점이 된 이후인 69년으로 미뤄졌다. 1, 2차 5개년 계획 기간에 유통산업부문에서는 ‘유통근대화 5개년 계획’ 수립과 68년 우리나라 최초의 슈퍼마켓인 ‘새서울 슈퍼마켓’과 삼풍슈퍼마켓 새서울 연쇄점 등이 문을 열었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시장법과 유통질서 개선을 위한 방법이 검토되고 시행되었다. 당시에는 백화점업계가 조사한 결과, 유통 마진율이 무려 60~80%에 이를 정도로 혼란한 시기였다. 1963년에 미도파 백화점이 국내에서 최초로 정찰제를 실시하였고 정부도 1964년에 정찰제 시범 점포 실시요령을 발표하는 등 유통분야의 불합리한 가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집중되었다.
1968년에는 우리나라로서는 처음으로 도소매업 센서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도매업체 수가 1만 3천여개, 소매점포는 26만여개가 난립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때를 전후해 서울시에서는 물자 유통 정상화 합동위원회를 구성하고 수퍼마켓 체인화를 실시하였다.
참고 자료
김기목, 백화점 물리적 환경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2004
김수림, 한국과 중국 백화점 경영에 관한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김태화, 국내·외 백화점 이용자들의 선택 요인 비교와 국내 백화점의 경쟁력 제고, 경운대학교, 2010
박미령 외 1명, 백화점의 3차원적 신뢰와 영향요인의 관계,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신진규, 백화점 서비스 품질의 평가와 만족 및 거래의도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1999
이지연,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