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양명학의 근본사상인 심즉리(心卽理)설, 치양지(致良知)설, 지행합일(知行合一)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기 전에 양명학의 창시자인 왕수인(王守仁)에 대해 언급하도록 하겠다.
그 먼저 양명학(陽明學)이란 중국 송나라 때 주자(朱子)에 의해 확립된 성리학(性理學)의 관념적 성격 및 신분차별, 폐쇄성 등에 불만을 느끼고 새로이 유학(儒學)을 발전시켜 나타난 명나라 때의 학문이다. 물론 이 두 학문 간에 공통점은 존재한다. 성리학과 양명학은 모두 유학의 한 갈래이자, 인간은 모두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우주만물은 이(理)와 기(氣)로, 인간의 마음은 성(性)과 정(情)으로 구분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양명학을 완성한 사람이 바로 명나라 때의 왕수인(王守仁)이다. 전쟁터에 나가 싸운 시간이 더 많았던 왕수인은 그의 호(號) 양명(陽明)을 따서 그가 세운 학문을 양명학(陽明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백사천난(白死千難), 즉 백 번의 죽을 고비와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