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서의 6자 회담 역할(소논문)
*동*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서의 6자 회담 역할(소논문)목차
제1장 서론제1절 연구 목적
제2절 연구방법 및 범위
제2장 다자안보협력 개념적 검토
제1절 다자주의 개념
제2절 다자주의 안보협력
제3장 다자안보협력의 사례 검토
제1절 국제안보레짐: 핵확산금지 레짐
제2절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제3절 ASEAN 지역안보포럼(ARF)
제4장 6자회담의 성과
제1절 북핵문제 해결 및 한반도 정세안정의 기제
제2절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환 촉진
제3절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제 전환의 토대 조성
제5장 6자회담의 다자안보협력체 전망
제1절 다자주의적 요소 측면
제2절 다자안보협력체제 발전 촉진요인 및 제약요인
제6장 결론
제7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집단안보는 국가 간의 협정을 통해 인위적으로 조직화된 지배적인 힘에 의존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불특정 적국에 대한 공동의 제재를 의미한다. 박재영, 국제정치패러다임(서울:법문사,1996),p.21.“전체는 하나를 위해 하는 전체를 위해 하는 것이 집단안보이다.”즉, 어떤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하여 행하려는 침략행위를 예방하거나 견제하며, 만일 어떤 국가가 침략을 행할 경우 이 국가에 대하여 효과적인 집단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점을 밝힘으로써 공동으로 국제평화를 유지함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김강녕, 한국의 안보와 남북관계 (서울:신지서원,2004), p.189.
따라서 이는 ‘반대세력에 대한 무력대처’혹은 ‘침략자에 대한 집단적 대응’등의 원칙에서 세력균형과 공통점을 갖는다. 반면에 세력균형은 말 그대로 국가 간의 세력균형에 의해 평화와 질서를 보장하는데 반해 집단안보는 어느 한쪽의 지배적인 힘의 우의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게다가 집단안보는 단순히 억지를 통한 예방의 의미를 넣어, 만약 억지가 실패한 경우 침략자에 대한 처벌까지를 상정하는 ‘법 진행’(law enforcement)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김의곤, 현대국제정치이론(서울:집문당,2000), pp.115-133.
그 이유는 집단안보는 철저한 현실주의적인 평화보장 장치이며, 질서 자체를 도전세력으로부터 지킨다는 데 역점을 두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단안보는 평화질서의 창출 장치가 아니라 현상유지(status quo)장치를 말하며, 이는 기존의 질서를 유지하고 보호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기 때문에 기존질서를 파괴하는 자가 바로 침략자로서 공동체의 대상이 된다. 이상우, 국제정치학강의(서울:박영사,2005), p.279.
때문에 집단안보제도는 지배권을 장악하고 있는 강대국의 기득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지 약소국의 지위를 높이려는 장치는 아니며, 오히려 약소국의 도전을 분쇄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 자료
김강녕, 한국의 안보와 남북관계, 서울: 신지서원, 2004김경호,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하나의 대안적 모색, 국제정치 논총, 제42집 2호 2003
김의곤, 현대국제정치이론, 서울: 집문당, 2000
김유남, 노병렬, 동북아 안보레짐의 형성 및 가능성, 다자간 안보협의체와의 상호 보완성 연구, 국제정치 논총 제39집 1호
하용출 외, 북방 정책; 기원, 전개, 영향,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다키다겐지 다자주의 재정의와 미국외교, 민주주의와 인권 제 5권 1호.
대한민국 외무부,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 1997
박건영,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의 현실과 전망, 탈냉전, 세계화, 한반도 상황변화가 갖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16권 2호, 2000
박건영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을 위한 한국의 전략
류동원, 중국의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천: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제44집 4호 2004
박재영, 국제정치패러다임, 서울: 법문사, 1996.
윤영관, 21세기 세계정치와 한반도 평화, 5.18 민중항쟁 27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논문 2005
이상우, 국제정치학강의, 서울: 박영사, 2005
이호영, “유럽안보협력기구(OSCE)를 통해서 본 동아시아 다자안보협의체(ARF)의 발전 가능성과 한계,”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조성렬, 2.13 합의 이후 북핵문제의 로드맵과 향후 과제, 한반도 군비 통제, 2007
조성렬, 한반도평화체제 구상과 주변국 관계, 국제문제연구, 제6권 제3호 2006
홍규덕,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안보협력, 이론과 실제, 지역연구 논총, 제 6집
Avner Cohen and Benjamin Frankel "Opaque Nuclear Proliferation: The Journal of Stratefic Studies 13-1 Septemver 1990
E.D.Solidim,"Security in the Asia-Pacific Regions .A Differential-Level Analysis,"
Foreign Relations Journal .Vol.10,No.3(1995)
Gareth Evans, Cooperating for Peace (Mary borough; Allen& Unwin, 1993) ,p.16.
The Newyork Times. 1998 March 30th
Robert O. Koehane,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Stefan Troebst, “Conflicton Kosove: Failure of Prevention: An Analytical Documentation, 1992-1998,” ECM IWorking Paper, May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