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
- 최초 등록일
- 2011.12.17
- 최종 저작일
- 2011.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A+ 받은 레포트 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새마을운동의 배경과 전개
3. 새마을운동과 농촌사회의 변화
4. 새마을운동과 마을공동체의 자율성 파괴
5. 공동체적 지혜와 전통의 부정
6. 맺음말 : 새마을운동의 한계와 유산
본문내용
1. 머리말
새마을운동은 박정희 대통령이 1970년 4월 22일 한해대책 지방장관회의에서 제시한 ‘새마을 가꾸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새마을운동은 농촌에서 시작되어 도시, 공장, 학교 새마을운동으로 확장되었고, 단순한 마을가꾸기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영역에 걸쳐 사회개혁운동으로 확대되었다.
새마을 운동은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객관적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기에 연구자 관심에 따라 연구범위가 결정되고 인식되었다. 오랜 기간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 새마을운동이지만 여기서는 전성기인 1970년대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새마을운동은 1970년에 시작되어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으로 끝났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전두환 정권이 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하고 새마을운동 중앙본부를 설치하여 국민운동으로 발전시키고자 했으나, 새마을운동 활성화는 실패하였다. 이후 새마을운동은 급속히 쇠퇴되어 지금은 그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실시한 새마을운동은 정부에서 스스로 평가하듯이 농촌 새마을운동을 제외하고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농촌 새마을운동은 농촌사회 주민 대다수를 동원하는데 성공한 반면 도시, 직장, 학교 새마을운동은 소수가 참여하는 관제운동이었기 때문이다.
새마을운동은 흔히 ‘잘살기 운동’이라고 한다. “우리도 한번 잘살아보세” 새마을운동가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그런데 우리는 항상 잘살기를 바라고 노력해 왔기에 새마을운동은 새로울 것이 없다. 새마을운동은 오히려 대중동원 이데올로기 또는 대중동원 방식의 하나였다. 다시 말해 새마을운동의 최고지도자(박정희 대통령)가 자신의 정치적 목적 혹은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 전체 행정조직을 이용하여 전 국민을 동원한 운동이다. “10월 유신의 실천도장”이라는 박정희 대통령의 표현에서 보듯이, 10월 유신의 통치방식인 대중동원(populism)에 기초한 강압적 억압적 통치방식이 스며드는 과정이었다. 새마을운동이라는 아래 수행된 모든 사업은 매우 권위주의적, 급진적, 대중동원적, 관료주의적, 정치적 성격이 나타났다.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농촌주민의 자조성, 주체성, 자발성을 표방한 새마을운동이 유신체제와 맞물려 철저히 정부 주도의 권위주의적 대중동원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