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학교의 칼빈주의와 신앙이라는 과목의 과제이죠?
여러 책들과 논문들을 보며 열심히 작성했습니다.^^
목차
Ⅰ. 序論
Ⅱ. 칼빈의 생애
Ⅲ. 예정론의 歷史
Ⅳ. 예정의 정의
Ⅴ. 예정론과 운명론(숙명론)
Ⅵ. 칼빈의 하나님의 예정에 대한 진술
Ⅶ. 알미니우스와 칼빈의 5대 교리
Ⅷ. 結論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序論
현행 한국에서 출판되고 있는 세계사 교과서에도 칼빈의 예정론은 등장을 한다. 그 만큼 그의 예정론은 저명하며 칼빈 신앙의 정점을 차지해버린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우리가예정론에 관하여 얼마나 심도 있고 자세히 알고 있는가’ 질문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예정론에 관하여 들어봤던 사람들은 대부분 예정론이란 우리의 모든 삶이 이미 하나님의 예정에 의해서 결정되었다고 생각을 할 것이다. 과연 이 생각이 예정론에 관한 올바른 답이 될 수 있을까? 혹자는 맞다고 할 수 있고 다른 이들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칼빈의 예정론 연구가들은 칼빈의 신학에서 차지하는 그 교리의 위치와 그 성격에 주목해 왔다. 칼빈의 예정론이 그의 신학에서 중심적인 교리라고 주장한 학자들 선두에 슈바이쩌(Alexander Schweizer)와 바우어(F. C. Baur)가 있는데, 그들은 예정이 칼빈의 신학에서 중심적이고 그의 모든 가르침이 예정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칼빈의 예정론을 취급함에 있어서 피해야 할 두 가지 태도가 있는데, 첫째는 하나님께서 계시하지 않으신 것에 대한 지나친 호기심을 갖는 태도, 둘째는 하나님께서 제시하신 것에 대한 지나친 주저감을 갖는 태도가 바로 그것이다. 첫째의 경우 예정론에 관하여 조심성 없이 뛰어드는 자가 있다면 그는 자기의 호기심도 만족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미궁 속에 빠져 출구도 못 찾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사람에게는 주님께서 자기 자신 안에 감추어 두려 하시는 것을 억지로 찾아낼 권리가 없으며 지극히 오묘한 지혜를 영원으로부터 노출시킬 권리도 없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우리들이 이 지혜에 대해서 이해가 아닌 경외심을 가지게 함으로서 놀라움이 가득 차도록 만드신다. 하나님은 그의 말씀으로 우리에게 계시하려고 작정하신 자신의 뜻의 비밀을 나타내신다.
참고자료
· 김종희, 「칼빈의 예정론(Calvin`s Doctrine of Predestination)」, 기독신학저널 4호, 200
· 에드윈 H. 팔마, 박일민 역,『칼빈주의 5대 교리』, 성광문화사, 1985
· 선우학원, 「칼빈의 생애와 정치사상」, 大韓基督敎書會 , 기독교사상 11.7, 1967
· 이기철, 「죤, 칼빈의 生涯와 그 敎育硏究 」, 전주대학교교육연구소 , 교육논총 4
· 고광필, 「칼빈의 예정의 논리 」, 大韓예수敎 長老會 光州改革神學硏究院 , 光神論壇 6
· 정재돈, 「칼빈의 예정론 연구」(총신대: 석사논문, 2003)
· H. 헨리미터, 박윤선․김진홍 역,『칼빈주의 기본사상』, 개혁주의신행협회, 2003
· 안병희, 「개혁주의 예정론에 관한 연구」(계약신학대학원: 석사논문, 2004)
· 이승구, 「특집:칼빈 신학의 현대적 해석: 칼빈의 예정론에 대한 한 고찰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 조직신학연구 1.
· Mildred B. Wynkoop, 한영택 역, 『칼빈주의와 웨슬레 신학』, 생명의 말씀사, 1991
· 장덕환, 「칼빈의 예정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목원대: 석사논문, 2006)
· 김하진, 『주제별 칼빈주의』, 한국문서선교회, 198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