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lation된 RNA를 이용하여 oligo-dT primer를 이용한 RT-PCR을 해보고, cell 종류에 따른 gene 발현의 차이를 확인해보며 그 원리를 확실하게 이해한다.
목차
◆ 실험일자
◆ 제출자
◆ 목적
◆ 원리
◆ 시약 및 기자재
◆ 방법
◆ 결과
◆ 고찰
◆ Further study
본문내용
◆ 목적 : isolation된 RNA를 이용하여 oligo-dT primer를 이용한 RT-PCR을 해보고, cell 종류에 따른 gene 발현의 차이를 확인해보며 그 원리를 확실하게 이해한다.
◆ 원리
*RT-PCR
원래 PCR에 쓰이는 Taq DNA polymerase는 DNA-dependent DNA polymerase이므로 RNA로부터 직접 증폭할 수 가 없다. 따라서 RNA를 template로 PCR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DNA로 복사한 다음(cDNA) 증폭한다. 이 때, RNA를 주형으로 DNA를 만들기 위해 RNA-dependent DNA polymerase인 Reverse Transcriptase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이라고 한다.
RT-PCR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PCR을 하기 전에 먼저 RNA로부터 reverse transcriptase를 이용하여 cDNA(complementary DNA)를 만들어야 한다. 이때, RNA는 single strand이기 때문에 primer는 downstream primer 하나만 사용한다. 그 후 생성된 cDNA에서 일반적인 PCR의 과정을 밟아서 유전자를 증폭한다.
downstream primer를 만들 때에는 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는 mRNA 뒤에 poly A tail이 붙는 것을 응용한 oligo dT primer로, 많은 RNA중, poly A tail이 있는 mRNA만 cDNA로 만들 수 있다. 두 번째, gene specific primer는 원하는 gene만 역전사되기 때문에 target gene의 cDNA만을 합성할 때 사용된다. 그리고 sequence만 맞으면 어디든지 붙는 random primer는 길이기 짧고, 아무 염기서열로도 만들 수 있다. 이 random primer를 사용하면 mRNA뿐만 아니라 rRNA, tRNA 등 모든 RNA를 cDNA로 만들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