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실업자현황과 대책 방안에 대하여 조사해보았습니다. 많은 도움되시길바라겠습니다^^
목차
1.우리나라 실업
2. 대책방안
1) 정부의 대책
2) 기업의 대책
3. 나의 생각
본문내용
1.우리나라 실업
학교를 졸업한 젊은이들이 직장을 구하지 못하면서 신규 취업자 수가 줄고, 실업자는 크게 늘었다. 정부와 기업이 인턴을 채용하고, 잡 셰어링(일자리 나누기)을 통해 일자리 지키기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통계청은 2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4만2000명 줄었다고 18일 밝혔다. 2003년 9월 이후 5년5개월 만에 가장 많이 감소한 것이다. 실업자는 3년 만에 가장 많은 92만4000명(실업률 3.9%)으로 집계됐다. 1년 전에 비해 10만6000명 늘면서 실업자 100만 명에 다가섰다.
특히 청년 실업률이 8.7%로 1년 전에 비해 1.4%포인트 급등했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청년 인턴을 채용한 덕에 공공행정·국방 분야에서 일자리가 2만9000개 늘었지만, 고용 한파를 녹이기에는 힘이 부쳤다.
통계청 정인숙 고용통계팀장은 “졸업생들이 고용시장에 2월부터 본격적으로 나왔지만 새 일자리가 별로 없어 실업률이 크게 뛰었다”고 설명했다.
임시직 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충격도 컸다. 1년 전에 비해 임시직은 19만2000명 줄었고, 자영업자도 25만6000명이나 감소했다.
대책방안
1. 정부의 대책
정부가 해야 할 일이 중요합니다. 실업률이 높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 될 수 밖에 없는데요. 정부에서는
1) 일자리 창출, 2) 금리 인하, 3) 기업 및 사회복지 지원, 4) 질적인 교육을 위한 투자, 5)해외기업 규제완화
1)먼저 일자리 창출은 정부공공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댐을 건설한다던지, 고속도로 건설 등의 정부가 할 수 있는 사업을 정부자금으로 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