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실험원리
<배지의 종류>
① LB (Lactose Broth)
② BGLB (Brilliant Green Lactose Bile Broth)
③ EMB (Eosin Methylene Blue) 배지
④ Endo 한천배지
⑤ Desoxycholate 배지
3. 실험방법
(1) 정성시험
<유당배지법>
① 추정시험
② 확정시험
③ 완전시험
<BGLB 배지법>
<Desoxycholate 유당한천 배지법>
(2) 정량시험
<MPN 법 (Most Probable Number 법, 최확수법)
<BGLB 배지에 의한 정량법>
<Desoxycholate 유당한천배지에 의한 정량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식품이나 음료수가 전염병원균(적리, 콜레라, 장티푸스, 살모넬라균 등)으로 오염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장균군의 유무를 검사한다. 여기서 대장균군의 검사는 청결도, 위생처리의 지표, 식품오염의 지표가 된다. 대장균군 시험에는 대장균군의 유무를 검사하는 정성시험과 대장균군의 수를 산출하는 정량시험이 있다.
2. 실험원리
대장균군이란 그람음성, 무아포성 간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모든 호기성 또는 통성 혐기성 세균을 말한다.
대장균군은 인간 및 동물에서 배출된 분뇨 등에 의해 발생하며, 병원성균의 지표로서 이용되고 있다. 즉, 물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는 의미는 사람이나 가축의 분뇨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뜻이며, 따라서 병원성균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대장균군의 검사법에는
① 유당을 분해해서 가스포집유무 확인으로 하는 방법과
② 배지를 이용해서 색깔의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
<배지의 종류>
① LB (Lactose Broth)
- 음료수, 빙설, 청량음료, 분말 청량음료, 해수 등의 식품검사에 사용
참고자료
· 식품공전, KFDA, 2004
· 정동효, 식품 미생물학, 선진문화사, 1999, P.166~167
· 최영길 외 7명, 현대 환경 미생물학, 교학사, 1999, P.326~328
· 김종오외 4인, 환경미생물학 형설출판사, 1998, P.574~58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