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화엄문헌에서의 『화엄경문답』인용 경향 (The Tendency of Hwaom Kyong Mundap Quotation in Japanese Huayan Literatur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2.04
39P 미리보기
일본화엄문헌에서의 『화엄경문답』인용 경향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31호 / 109 ~ 147페이지
    · 저자명 : 김천학

    초록

    『화엄경문답』에 대해서는 이미 헤이안시대 초기부터 저자의 진위문제가 제기되었다. 이후 긍정·부정의 논쟁 끝에 법장의 저술로서 인식되었지만, 현재는 의상계 문헌으로 확정되었다. 『문답』은 의상학파 문헌 가운데 일본 화엄학 문헌에 가장 많이 인용되어다. 그 이유는 『문답』이 법장의 저술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본 고에서는 일본화엄문헌에 끼친 의상학파의 영향이라는 관점으로부터 『문답』의 인용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화엄경문답』은 『향상문답』이란 명칭으로 처음으로 일본불교에 소개된 후에 헤이안시대 작자미상 『華嚴十玄義私記』로부터 에도시대 芳英 『探玄記南紀錄』 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화엄문헌 등에 16가지 주제에 이르는 폭넓은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그 가운데 가마쿠라시대의 단에이(湛叡)가 가장 많이 『문답』을 활용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16개의 주제 가운데 삼생성불 주제가 가장 많이 인용되어 있으며, 성불과 관련된 4가지 주제가 전체 인용 건수의 반을 넘는다.
    삼생성불에 대해서 일본화엄문헌을 중심으로 검토한 결과 『오교장』과 『문답』의 상위를 회통하기 위한 해석을 비롯하여, 『문답』이 가마쿠라시대 화엄학자들의 삼생성불에 대한 해석에 주요한 전거가 되었고, 『문답』의 어느 부분을 인용하는가에 따라 해석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마쿠라시대 이전에 활약했던 쇼센(聖詮)은 삼생성불에 대해서 별교의 입장에 선 법장의 『오교장』설과 동교의 입장으로 해석한 『문답』설을 회석하고 있다. 삼생성불에 대해서는 양방의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쇼센의 주장 가운데 삼생성불이 실질적으로는 일생성불설이라는 주장은 문초의 『유망집』에 유래하지만 『문답』이 이를 보증하는 전거가 되었다.
    가마쿠라시대에 들어와 교넨(凝然)은 『문답』의 삼생성불에 대해서 법장 『오교장』의 교판적 입장과 동일하게 별교설로서 이해한다. 교넨의 이생성불설의 유력한 전거 역시 『문답』이다. 교넨의 상족 신조(審乘)도 『문답』을 전거로 삼생성불에 대해서 별교로서 위치 지운다. 신조는 별교 항포라는 개념을 동원하였다. 그러나, 단에이(湛叡)는 교넨의 제자이면서도 삼생성불이 세 번의 전생을 거치며 동교의를 나타내는 성불설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스승 교넨과는 일선을 긋는다. 그런데 이 두 주장의 근거가 모두 『문답』이었다. 한편 세에이(聖譽)는 쇼센의 영향 하에 삼생성불설을 이해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교설로서 위치 지운다. 세에이의 삼생성불설에 대한 해석은 구래성불, 신만성불론을 삼생성불과 동일화 시킨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법장과 의상의 조화라고도 할 수 있는 해석이다. 쇼켄(聖憲)은 삼생성불에 대해서 동교로 해석하는 듯하다. 그것은 『문답』의 영향 때문이다. 또한 일생성불설을 주장하는데 여기에 있어서도 『문답』이 유력한 근거가 된다.
    이상과 같이 일본화엄문헌에서의 삼생성불에 대한 해석은 별교, 동교 양방을 다 긍정하는 해석으로 나뉜다. 이렇게 『오교장』의 본래 의도와는 달리 해석하는 데는 『문답』이 법장의 저술로 인식되고 일본 화엄학에서 주요 문헌으로 자리한 것에 그 이유가 있다. 또한 『문답』은 삼생성불론이 이생성불, 일생성불론으로 다양화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문답』이 법장의 저술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일본의 화엄학승들이 저마다 활용할 문장을 선택해서 주장의 의증으로 삼았고, 그럼으로 해서 가마쿠라 불교의 삼생성불 논의가 다양화되어 간다. 이렇게 『문답』은 일본 화엄학이 다양화되어가는 단초를 제공하게 된다. 이것은 『문답』의 주장이 법장의 『오교장』 혹은 『탐현기』와 다름으로 인해 생긴 것이다. 즉, 법장의 저술상의 애매성이나 모순을 회통시키려는 일본 화엄학자들의 노력 및 다양한 견해는 결국 의상학파의 영향으로 인해 형성된 교리해석의 다양성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iew how Hwaom Kyong Mundap(or Mundap) of Uisang, which was passed down by Fazang's work, affected the Japanese Huayan school. Beyond other literatures of Uisang school, Mundap was used as quotations more than any others in Japanese Huayan Literature. This is because it has used the name, Fazang.
    Mundap was first introduced in Japanese Buddhism under the name of Kojo-mondo. It was quoted widely, reaching sixteen topics, from Heian to Edo period. Danei from Kamakura period used Mundap mostly among the rest of the Japanese Huayan cholars. 'The theory of Becoming A Buddha in Three Life Times' was used as quotation mostly among the sixteen topics, and four topics related with 'attaining buddhahood' was quo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quotation number.
    Through this review of 'the theory of Becoming a Buddha in Three Life Times' focused on Japanese Huayan literature, we can find a features about the interpretations. The interpretation was made to get rid of the contradiction from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Gokyosho and Mundap, Mundap was a reliable authorit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becoming a buddha in three life times' for the scholars of Kamakura period, and interpretations was taken differently by which part of Mundap was quoted. Like this, Mundap has provided the basic lead for Japanese Huayan schools to diversify. This eventually means that the diverse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was influenced by the Uisang schools of Shinla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