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승기신론의기>의 무애설 - <탐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Dashengqixinlunyiji (<大乗起信論義記>)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Huayanjingtanxuanji (<華嚴經探玄記>))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8.11
25P 미리보기
&lt;대승기신론의기&gt;의 무애설 - &lt;탐현기&gt;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52호 / 129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천학

    초록

    법장(法藏)의『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에서『기신론』과『화엄경』의 교판적 관계는 여전히 미해명의 과제이다. 단적으로 말하면『의기』의 4종판 가운데 여래장연기종과『화엄경』의 관계 문제이다. 전통적으로는 4종판에『화엄경』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그러나 『의기』 자체에는 그것을 주장할 만한 적극적인 증거가 없다.『기신론』이 교판적으로 종교에서 원교에 해당한다는 가설도 있으며, 회입의 동교라는 가설도 있지만, 둘 다 충분히 논증되지 않았다. 2018년에는 ‘초기(初機)’라는『기신론』의 근기를 분석하여『기신론』에는 교판적으로 원교의 일부인 일승동교적 속성이 있으며,『화엄경』과 『기신론』의 동등성도 어느 정도 인정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가설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의기』의 무애설은『탐현기』의 무애설과 관련시킬 경우, 종교 및 동교일승, 별교의 교판적 위상으로 설명된다. 그 이유는『의기』의 이사통융무애와 『탐현기』의 이사혼융무애의 동질성 때문이며, 이사무애문에서 구사되는 ‘동일연기(同一縁起)’, ‘원명자재(圓明自在)’ 등은『탐현기』에서는 별교일승(別敎一乘)의 입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예를 통하여 『의기』에서『기신론』의 교판적 위상은 종교(終敎)를 넘어 별교를 포함한 화엄 원교까지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해석하였다. 그러나 『의기』에서는『탐현기』의 별교일승에서 사용하는 관용표현인, 제망중중(帝網重重) 등의 독특한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용 표현적 한계를 고려할 때,『의기』에서의『기신론』의 교판적 위상은 별교일승을 배제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는 종교와 원교로서의 동교일승(同敎一乘)에 해당된다.

    영어초록

    It is still a problem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doctrinal taxonomy(敎判) between Dashengqixinlun(『大乘起信論』) and Dafangguangfohuayanjing(『大方廣佛華嚴經』) in Dashengqixinlunyiji (『大乘起信論義記』, hereafter Yiji) by Fazang(法藏, 643-712). Traditionally it has been assumed that Fazang’s doctrinal taxonomy in Yiji does not include Huayanjing but there is also another theory that Huayanjing is included from the final teaching(終敎) to the complete teaching(圓敎). Recently the view that Qixinlun are of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同敎一乘) in Yiji’s doctrinal taxonomy was presented.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order to reinforce the theory that Qixinlun is included in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in the system of the doctrinal taxonomy of Yiji.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Yiji is described as related to the final teaching,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and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distinction(別敎一乘) when associated with the theory of non-obstacle in Tanxuanji. This is because the idioms used in the path of no-obstacle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a(理事無礙門) of Yiji such as ‘the same dependent arising(同一縁起), ‘perfectly bright unrestrictedness(圓明自在)’ and so on are related to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distinction(別敎一乘) in Tanxuanji.
    Through these examples, we can assume that the taxonomical status of Qixinlun in Yiji extends beyond the final teaching to Huayan complete teaching. However, Yiji does not use the idioms like the repeated repetition of Indra’s net(帝網重重) which is shown typically in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distinction in Tanxuanji. Given the limitations of this idioms, the taxonomical status of Qixinlun in Yiji might be seen as one vehicle of the teaching of commonality composed of the final teaching and the complete tea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