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정체감 검사와 진로정체감 지위검사에 따른 진로정체감 특성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identity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Vocational Identity Sca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을 측정하는 두 주요 검사인 Holland 등(1980a)이 개발한 진로정체감검사(VI)dhk Porfeli 등(2011)이 개발한 진로정체감 지위검사(VISA)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과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검사에 따라 각각 구분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검사에 따라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부모진로지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 검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관분석과 VISA의 6개 하위 요인과 VI에서의 점수를 서로 교차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VI 점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이 VISA 여섯 하위영역에서의 차이, VISA에 따른 여섯 군집 간 VI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VI 점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VISA의 전반적 탐색을 제외한 심층적탐색, 진로몰입확신, 진로일체감, 진로자기의심, 진로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VISA를 통해 도출한 여섯 진로정체감 상태(군집)가 VI 점수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취와 유실집단, 탐색유예와 미분화집단, 유예와 혼미집단 각각 VI에서 동질 집단으로 확인되었다. 추가로 집단 간에 자기결정성과 부모진로지지에서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성취집단과 유실집단은 자기결정성에서 차이가 있었고 부모진로지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탐색유예집단은 미분화집단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유예집단과 혼미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differences in vocational identity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the Vocational Identity Scale(VI)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VISA). And analyses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between two VI score groups and among six clusters by VISA. First, between High VI score group and Low VI score group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A’s subordinate elements of In-Breadth Career Exploration, Career Commitment Making, Identification with Career Commitment, Career Self-Doubt, and Career Flexibility. Second, six statuses were divided by VISA though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es. Among the six statu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 score between achieved and foreclosure statuses, between searching moratorium and undifferentiated statuses, moratorium and diffused statuses. Third, all the self-determination’s sub-factors highly showed in achieved than foreclosure statu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s sub-factors between searching moratorium and undifferentiated statuses, there were participi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Between moratorium and diffused statuses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Based on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