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을 측정하는 두 주요 검사인 Holland 등(1980a)이 개발한 진로정체감검사(VI)dhk Porfeli 등(2011)이 개발한 진로정체감지위검사 ... (VISA)에 따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발달과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검사에 따라 각각 구분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검사에 따라 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부모진로지지 ... , 진로몰입확신, 진로일체감, 진로자기의심, 진로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VISA를 통해 도출한 여섯 진로정체감 상태(군집)가 VI 점수에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취
군집분석과 질적분석은 소수에 불과했다. 넷째, 진로정체감 측정도구로는 진로정체감검사(VIS)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2010년대에 이르러서 진로정체감지위 평가(VISA) 등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21년까지 연구된 대학생 진로정체 ... 감 논문 중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87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별 논문 수,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분석기법 및 측정도구, 진로정체감 변인의 설정 양상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