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다현(2016). 체중조절운동이 자아성취감과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 강문철(2008).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고두현(1993). 30년 경력스포츠기자가 본 잊을 수 없는 스포츠영웅들. 조선 일보사, 142(1), 550-560.
· 공혜원(2007). 요가수련 참가자의 참여 동기, 몰입경험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곽호근(2006). 생활체육 참여자의 여가만족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응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권경주(2020). 필라테스 참가자의 신체상이 운동 몰입 및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 미(1997). 생활체육 종목에 따른 참여자의 동기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김경렬(2003).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가 자기효능감 및 정신건강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경식(1996). 대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 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경화(2015).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여성적 매력이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남정(2010). 유산소운동, 유산소운동과 필라테스 복합운동이 폐경기 비만 여성의 관상동맥질환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1), p1-10.
· 김덕영(2005). 필라테스 수행자들의 신체상 체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 김덕임(2011). 댄스스포츠 참가 여성의 참가동기, 자기관리행동, 자기표현 및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김도연(2022). 필라테스 참여정도에 따른 운동만족이 심리적 웰빙지각 및 운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문화스포츠대학원.
· 김민경(2023). 필라테스 참가자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신체존중감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범룡(2016). 호흡운동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과 보행능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한대학교 대학원.
· 김병관(2007).중학생의 체육수업 스트레스, 정서지능, 대처행동과 수업만족도 간의 인과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김수지(2013).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외모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영미(2016). 무용에서의 신체정렬과 고유수용감각 고찰. 대한무용학회 논문집, 74(2), 46-61.
· 김용길(1993). 생활체육활동과 여가만족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논문집,34(8), 349-364.
· 김유미(2002). 재즈댄스가 직장여성의 생활만족도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조전대학교 대학원.
· 김윤경(2020). 필라테스 대중화를 위한 메소드 개선 및 확장요인에 대한 연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탐색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 김윤경, 정숙희(2020). 필라테스 대중화를 위한 메소드 개선요인에 관한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51, 85-113.
· 김정아(2002). 댄스활동이 중년여성의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 김정혜(2009).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김지선(2010), 필라테스의 재미요인과 신체상, 자기효능감 및 지속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김지윤(1988). 기혼여성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김진숙(2017). 필라테스 참여자의 체형 개선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노대성(2010). 노인의 웨이트 트레이닝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노수연(2015). 필라테스 참가자들의 객관화된 신체의식과 자기통제 및 완벽주의 태도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3(1), 225-237.
· 노형규(1998).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
· 모창배(1993).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생활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간행 박사 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민왕식(2013).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운동열정, 신체적 자기효능감, 운동정서 및 심리적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박미영(2006). 필라테스 운동이 요부관련 근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남부대학교 보건대학원.
· 박승호(1995). 사회체육 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동기유발요인 및 참여도와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박운서(2002). 중등학교 남자 태권도 선수의 경기력과 자기효능감 관계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박정민(2007). 재즈댄스 참가정도와 몰입이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방종근, 조병훈(2005). 태권도 수련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 백주현(1989). 여가 선택행동이 가정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 송채훈(2000). 지체장애인의 스포츠사회화 요인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8(1), 49-61.
· 신은석(2015). 고전발레 레퍼토리를 활용한 성인 취미발레 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안성은, 김범수(2013). 운동재활프로그램이 회전근개 파열에 따른 관절경 수술 후 근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1(1), 301-309.
· 양옥경(1994). 삶의 만족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157-198.
· 어지환(2016).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사례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 유영주(2008). 무용결핍 대학생의 교양무용 수강경험이 무용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윤귀현, 김효찬, 심향보(2004). 인기종목과 비인기종목 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 원인과 해소방법 비교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3(1), 315-330.
· 윤숙향(2009). Pilates 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신체의 자세와 발란스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 윤여진(2010). 명상 및 필라테스 운동이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 윤지은(2021). 필라테스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이 자아탄력성,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갑수(1994). 가정주부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생활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경은(2014). 필라테스 참여자의 건강신념이 계획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경현, 김인범, 임낙철, &장용주(2005). 노인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가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205-212.
· 이계윤(1998). 운동스트레스, 심리·사회적변인에 관한 이론적모델.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이계윤,이영희,이종목,김인숙(2005). 골프경기보조원들이 직무스트레스,매개변인,직무만족간의인과분석.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6(3), 103-120.
· 이성철(1996).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수현(2018).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운동경력이 functional movement screen 및 Y-balance test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이은선(2006). 필라테스 매트프로그램 수행이 중년여성의 신체자신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대학교 대학원.
· 이재원, 김성훈(2018).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의 차이분석. 체육연구, 14(1), 53-66.
· 이종길(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주영(2014). 필라테스 운동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기관리가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 이중재, 이승민, 유정인(2015). 필라테스 참여자의 운동정서와 심리적 웰빙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1, 421-432.
· 이화연(2005).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 임소영(2008). 필라테스 운동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구성변화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 임수민(2008). 직장인의 특수대학원 학습참여가 생활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임자영(2006). 필라테스 참여가 정신건강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6(1), 23-40.
· 장미숙(2010). 여성의 외모관리와 체형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 학위 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장선웅(2002).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장효진(2009). 초등학교의 실외 전래놀이 활동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홍조, 이지희(2007). 필라테스 운동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7(1), 65-74.
· 정윤미(2008). 헬스클럽 참여가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은주(2005). 학교유형에 따른 중학교 여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체육수업태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재은(2022). 필라테스 참여 여성의 신체변화가 심리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지은, 정철영(2015).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주도학습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1), 79-96.
· 정창근(2001). 태권도 수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성익(2010). 운동선수들의 사상체질, 성격유형,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조윤주·한준아·김지현(2012).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2(3), 33-60.
· 조화형(2006). 초등학교 여학생의 신체변화에 따른 주관적 신체상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최경희(2015). 노인의 노르딕 걷기 운동 참여가 주관적 행복감, 자기 효능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세한대학교 대학원.
· 최재선(2013). 뮤지컬 전공자의 재즈댄스 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신체적 자기지각 및 효능감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 최정아(2009). 필라테스 운동 참여가 신체. 심리적 요인 변화 및 심리적 행복감 간의 인과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 한정란, 김수현.(2004). 농촌 남녀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6, 91-118.
· 허 정(1998). 청소년의 체력과 체조성 및 체형의 관련성 검토. 미간행 박사 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 홍성아(2006). 중년여성의 여가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 황문수(2004). 성인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생활만족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Adamany, karr & Loigert, Daniel (2004). The Pilates edge, New York, Avery.
· Akhtar, S. & Thomson, A.(1982). Overview: Narcissistic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139(1), 12-20.
· American College of Sport Medicine (1986) Position statement on proper and improper weight loss program.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15, 9-13.
· Angelo, N.(2004). Weight loss: Pilates and paella Health and Medicine Week, January, 705.
· Atwater, R.(1992). West Basin Water Reclamation Program.Specialty Conference Series, 6, 483-488.
· Bandura & Schunk, D. H. (1981).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6-598.
· Bandura, A (1993). Perceived sd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9-361.
· Bram, C., Erik, T., Veerle, D., Jeroen, S., Margot, R., Annick, W., (2020). Exercising in times of lockdown: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COVID-19 on levels and patterns of exercise among adults in belgium. Int J Environ ResPublic Health, 17(11), 41-44.
· Chaung, S. K. (1995). Effects of behavior modification on the care of obesity in obese adolescent gir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 University.Collingwood, J. R.(1972). The effects of physical training upon behavior and self attitud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 583-585.
·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Francisco: Freeman, p. 5.
· Corbin, C. B., & Lindsey, R. (1994).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 Curnow, D., Cobbin, D., Wyndham, J., Boris Choy, S.T. (2009). Altered motor control, posture and the Pilates method of exercise prescription. Journal of Bodywork & Movement Therapies, 13(1), 104–111.
· Gallagher, S. P. & Kryzanowska, R. (1999). The Pilates Method of Body Conditioning. Philadelphia: Bain Bradge Books.
· Glass, C. K., &Witztum, J. L. (2001). Atherosclerosis: Theroad ahead. Cell, 104(4), 503-516.
· Gruber, J. J.(1986).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development in children: Ameta-analysis.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Education Papers, 19, 30-48.
· Hwang, R. H., & Shin, H. S. (2000). A study on eating disorder,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girls. Korean J Women Health Nurs, 6(1), 129-141.
· Isacowitz, R., &Clippinger, K. S. (2018). Pilates anatomy, Human Kinetics.
· Joseph, E. M., Simona, C. (2004). Pilates and the ‘powerhouse’-Ⅰ.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8, 15-24.
· Kanagae, M., Abe, Y., Honda, S., Takamura, N., Kusano, Y., Takemoto, T., &Aoyagi, K. (2006).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among community-dwelling wom- en aged 40 years and over in Japan. Tohoku Journal ofExperimental Medicine, 210, 11-19.
·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2003). The guidelines of obesity treatment. Seoul: Han Medicine.
· Marsh, H. W.(1997). The measurement of physical self-concept: A construct validation approach. In K. Fox(Ed.), The physical self: From motivation to Well-being(pp. 27-58).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Mogan, W. P. & Goldston, S. N.(1987). Exercise and mental health. In R. K. Dishman(ed.), Exercise adherence: Its impact on public healt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Morgan, W. P. & Pollock, M. L.(1977). Psyc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elite distance runner.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301, 382-403.
· Pilates, J. H., Miller, W. J., & Robbins, J.(2007). Pilates’Return to Life throu gh Contrology(Paperback).Dist Serv: Atlasbooks.
·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Siler, B, (2002). The Pilates Body. Broadway Books, New York. Sallis, J. F., Haskell, W. L., Fortman, S. P., Vranizan, M. S., Taylor, C. B.,
· Secord, T. & Jourard, S.(1953). The Appraisal of Body Cathexis: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unselingPsychology, 17, 343-347.
· Segal, N. A., Hein, J., & Basford, J.R.(2004). The effects of Pilates training on flexibility and body composition: an observational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5(12), 1977-1981.
· Siler, Brooke.(2002). Your Ultimate Pilates Body. Broadway Book.
· Sonstroem, R. & Morgan, W.(1989). Exercise and self-esteem:Rational and model.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and Exercise, 21, 329-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