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009년 남해안 적조발생 및 적조 미발생에 관한 비교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16권 / 1호
ㆍ저자명 : 조은섭
ㆍ저자명 : 조은섭
한국어 초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매년 여름철에 남해안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으나, 2009년에는 적조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남해안 여수부터 완도해역을 대상으로 조사정점 13개를 정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여름철 수질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적조가 발생된 연도(2007년과 2009년)와 적조가 발생되지 않은 연도(2009)년) 자료를 상호 비교하였다. 2009년 6월부터 남해안 집중강우로 인하여 7월의 평균수온이 20℃ 이하의 저수온과 8월에 염분이 31psu 이하의 저염분, pH가 8월에 8.4 정도를 보여 적조발생 년도에 비하여 해양환경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DIN 농도는 적조발생 년도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N:P 및 Si:N 비율에서도 적조가 발생된 년도에 비하여 Redfield ratio가 16 이상을 나타내어 완전히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대부분의 우점종으로는Chaetoceros spp., Skeletonema costatusm, Thalassiosira spp.와 같은 규조류가 대부분 출현되었고, 와편모조류로는 Ceratium spp.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 8월경에는 C. polykrikoides 대신에 Gonyaulax polygramma 종으로 적조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2009년 6월부터 집중강우 및 일조량 부족으로 인한 C. polykrikoides 대수증식기 시점에 수온, 염분 등과 같은 해양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적조형성이 지연됨과 아울러 G. polygramma와 Chaetoceros 등과 같은 규조류의 세력에 밀려 2009년에는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영어 초록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s always occurred in southern coastal waters every year during summer, but it did not occur in 2009. A comparative study on outbreak in 2007/2008 and non-outbreak of C. polykrikoides in 2009 was performed based on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appearances. Samples were obtained at 13 stations from Yeosu to Wando waters in 2007-2009. The heavy rainfall was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below 20℃ in July, the decrease of salinity below 31psu in August and increase of pH to 8.4 in Augus, 2009. concentration of DIN in 2009 was approximately too times as high as those of 2007 and 2008, and the ratioes of N:P and Si:N in 2009 showed Redfield ratio to be above the value of 16. This indicates that Redfield ratio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007/2008 and 2009. Dominant species during the field survey were shown to be Chaetoceros spp., Skeletonema costatum and Thalassiosir spp. in diatoms and to be Ceratium spp. in dinoflagellate. In partiuclar, Gonyaulax polygramma occurred in August, 2009 instead of C. polykrikoides. Consequently, the massive rainfall and shortage of sunshine contributed to considerable variation in environmental parameters which were associated with delay in the timing of rapid growth phase of C. polykrikoide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 진동계측 시스템의 구축과 실습선 내 거주성에 미치는 진동 평가에 관한 연구6페이지
- 고성능 유리섬유로 보강된 해상장대교량 교각의 보강성능평가9페이지
- 부산시 해양산업 육성을 위한 '해양산업박람회' 개최방안 구상9페이지
- 국내 무역항의 예선 사용기준에 관한 고찰7페이지
- 피항판단평가함수를 고려한 선박교통흐름 통합프로그램의 구축에 관한 연구6페이지
- 해사안전기술의 대개도국 이전을 위한 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7페이지
- 국제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해사안전기술 평가 연구11페이지
- 한국과 필리핀의 해기교육에 관한 고찰10페이지
- ISM Code 도입에 따른 국내 해양사고 및 보험율 변화에 관한 연구5페이지
- IMO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도입과 해양사고조사제도에 관한 고찰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