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ㆍ수록지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16권 / 1호
ㆍ저자명 : 박성은, 홍석진, 이원찬, 정래홍, 조윤식, 김형철, 김동명
ㆍ저자명 : 박성은, 홍석진, 이원찬, 정래홍, 조윤식, 김형철, 김동명
한국어 초록
울산만의 육상기인 오염부하에 대한 해역수질의 응답특성을 조사하고 만내 수질관리에 활용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태계모텔에 의해 계산된 울산만의 수질은 만 내측에서 COD 농도 2.8mg/L로 해양수질 III등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계산결과 울산만 전체 해역의 수질을 II등급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약 30% 이상 삭감해야 하며, COD 농도 1.0mg/L이하의 수질이 되기 위해서는 전체 육상부하의 70% 이상을 삭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수질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삭감해야 할 오염부하량은 약 3,083kgCOD/day, 이 때의 환경용량은 약 7,193kgCOD/day로 계산되었다. 태화강 하구역은 식물플랑크톤 대증식(Bloom)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해역이므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자생유기물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가물 삭감 이외에도 영양염의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Numerical study on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ponse of summer water quality to the flow into the sea of land based pollution load in Ulsan Bay, Korea The abatement of pollution load. from point sources of land was estimated on the basis of Korean coastal water quality standard using an ecosystem model. The results of the ecological model simulation showed that COD values in the inner part of the bay were greater than 280mg/L, and exceeded the grade III limit of Korean coastal water quality standard 30% of all land based pollution loads or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loads from point sources should be cut down to keep the COD levels below 2mg/L. As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was estimated to be 7,193kgCOD/day to keep the COD levels below 2mg/L in Ulsan Bay, 3,083kgCOD/day of land based organic loads should be reduced. The phytoplankton blooms have occurred in the Teahwa river mouth or estuary repetitively, so it is important to control land based nutrients loads for removal of autochthonous organic loads around Ulsan Bay.참고 자료
없음태그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
- 진동계측 시스템의 구축과 실습선 내 거주성에 미치는 진동 평가에 관한 연구6페이지
- 고성능 유리섬유로 보강된 해상장대교량 교각의 보강성능평가9페이지
- 부산시 해양산업 육성을 위한 '해양산업박람회' 개최방안 구상9페이지
- 국내 무역항의 예선 사용기준에 관한 고찰7페이지
- 피항판단평가함수를 고려한 선박교통흐름 통합프로그램의 구축에 관한 연구6페이지
- 해사안전기술의 대개도국 이전을 위한 로드맵 작성에 관한 연구7페이지
- 국제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해사안전기술 평가 연구11페이지
- 한국과 필리핀의 해기교육에 관한 고찰10페이지
- ISM Code 도입에 따른 국내 해양사고 및 보험율 변화에 관한 연구5페이지
- IMO 해양사고조사코드의 도입과 해양사고조사제도에 관한 고찰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