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감성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감성과학 / 13권 / 4호
ㆍ저자명 : 남궁선, 정수경, 이유리, 홍정표, 김태호
ㆍ저자명 : 남궁선, 정수경, 이유리, 홍정표, 김태호
한국어 초록
전통의 가치를 현대 디자인에 적용하여 전통을 계승 보존하며 현대적 디자인에 활용을 위한 접근방법을 찾아 전통을 현대화할 수 있는 체계화된 디자인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공예기술을 디자인과 접목하여 전통적 가치의 맥을 있고, 현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통공예지술인 짜임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추출하여 디자인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그 기초연구로 짜임을 디자인에 작용하는데 있어 심미성과 기능성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짜임에서 중요시 되는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요인분석을 통해 심미성과 기능성에서 전형성, 독창성, 시대성, 생산성, 안전성이 짜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도출되었고, 유의성 분석을 한 결과 판재짜임과 연귀짜임이 각 요소별로 가장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향후연구에서 짜임의 감성요소로 추출된 요소와의 관계성을 알아봄으로써 짜임을 디자인에 적용하여 디자인할 때 가이드라인이 될 디자인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data to extract the elements that influence users' preference from "setting-up," a Traditional craft skills, and apply it to design and use it, so as succeed to the traditional values by connecting the Traditional craft skills with design and to establish a design-supporting system that can meet contemporary users' desire. In this light, 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selects a sense of beauty and functional quality as a standard for applying setting-up to design and conducts an experiment to extract the elements of design that are important in setting-up. An analysis of factors based on the experiment reveals that in terms of a sense of beauty and functional quality, typical quality, creativity, historicalness, productivity, safeness are derived as elements that influence setting-up. And an analysis of meaningfulness tells that each element of Panjac Setting-up and Yeongui Setting-up is the most meaningful. This result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relationship with elements extracted as emotional elements, which can be useful as an index for establishing a design-supporting system that can serve as a guideline in designing through applying to design.참고 자료
없음태그
"감성과학"의 다른 논문
- 3차원 가상 색채 환경 상에서 사용자의 감성적 인터랙션에 관한 연구8페이지
-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상호작용 치료시스템의 디자인 개발12페이지
- 손의 형태학적 특성과 손감성지수와의 상관관계8페이지
- 제품 사용 전후의 사용자 감성 비교8페이지
- 최적화된 노인여가시설 구축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기초연구8페이지
- 관광도시 문화자원의 도시브랜드개성, 관계품질,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12페이지
- 제주 의료관광을 위한 에코 휴양복의 패턴그레이딩 연구8페이지
- 60Hz 자기장에 대한 과민 증후군의 자각증상 원인 평가12페이지
- 인터랙션 문제에 대한 선택의 문화적 차이10페이지
- E-Prime에 기반한 손가락 촉각 자극기의 개발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