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ㆍ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ㆍ수록지정보 : 동국사학 / 48권
ㆍ저자명 : 전영준
ㆍ저자명 : 전영준
목차
Ⅰ. 머리말Ⅱ. 현행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분석
Ⅲ.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에 반영된 고ㆍ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분석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한국어 초록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02년에 편찬한 국정교과서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와는 차별되는데, 학생들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한 읽기 자료나 도움글, 심화과정, 탐구문제 등을 적극 반영하였다. 하지만 교과서의 외형적인 변화가 교과서 내용의 충실도까지 담보해주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문화교류와 관련된 학계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반영하기보다는 정치사 위주의 내용이 중심이 되면서, 문화교류에 대한 이해는 대체로 국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물자의 교역 정도로 서술되고 있었다. 중학교 과정에서의 학습 내용이 심도 깊게 진행될 수 없다 하더라도, 문화교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는 이후의 다양한 국가 환경과 교역 등으로 인한 시대적 변화상을 학습하는데 장애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현행 중학교 국정교과서를 학습하는 단계의 어린 학생들에게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요구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러기 때문에 국사교과서의 내용 선정은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는 주제별 학습에 더하여 문화사 또는 문화교류사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문화교류가 끼치는 영향을 전제로 세계와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확대를 꾀하게 할 뿐 아니라, 他文化에 대한 개방된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중학교 국사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이 목표하는 학습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도 함께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에 반영된 고ㆍ중세시기의 문화교류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영어 초록
In 2002,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7th Training Course. In many ways, differing from the textbooks of the 6th Training Course, they included contents such as materials for reading, guide writings, deep courses, research questions, and so on. However, only external changes of the textbooks do not make guarantee of their quality. The seventh textbooks don’t contain recent academic researches of cultural exchanges and still focus on political history. Moreover, they describe cultural exchanges as trade of merchandises requir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tate. Without basic understanding of cultural exchanges, students would have a difficulty in learning historical changes related to cultural exchanges.It isn’t actually easy to demand active and voluntary study of younger students. Therefore, the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have to include not only political history but also cultural histoty, because a study of the impact of cultural exchanges can cultivate open-mindedness toward other cultures as well as expand the vision of the korean and world histories.
This article aims to make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and curriculum of the 7th Training Course and to show how they were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In addition, it reviewed what the objectives and the curriculum of the amended 7th Training Course were. For this purpose, it focused on the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cultural exchange of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cory.
참고 자료
없음태그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
- 『三國史記』 解題35페이지
- 『入唐求法巡禮行記』 解題17페이지
- 망각, 관용, 복권38페이지
- L’ATTEITE A L’IMAGE SACREE DANS LA PAROLE DES PREDICATE..38페이지
- 7~8세기 唐代 譯經事業과 新羅學僧45페이지
- 식민지 불교의 혁신론과 문명개화의 여정32페이지
- 17세기 西人 내부의 陽明學 이해와 現實主義 政治論29페이지
- 백제의 산천제사와 그 整備32페이지
- 평택지역 구석기 유물에 대한 예보적 고찰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