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西人 내부의 陽明學 이해와 現實主義 政治論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01
29P 미리보기
17세기 西人 내부의 陽明學 이해와 現實主義 政治論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48권
    · 저자명 : 정두영

    목차

    Ⅰ. 머리말
    Ⅱ. 陽明學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응
    Ⅲ. 現實主義 政治論과 改革案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초록

    본 논문에서는 17세기 조선의 현실 문제를 적극적으로 대처해 갔던 최명길, 조익, 장유 등 몇몇 인물들의 학문과 경세론의 내용을 통해 조선에 전래된 양명학의 전승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들이 당면했던 현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국가적 전란과 그에 따른 제도개선ㆍ체재개혁의 문제였다. 특히 병자호란의 경우 전쟁의 결과 명분ㆍ의리ㆍ화이 등 주자학적 가치관이 현실과 괴리됨으로써, 당시 지배층은 심각한 정신적 공황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이같은 현실 속에서 최명길, 조익, 장유 등은 당시 위기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논리와 방안을 모색하였다. 최명길의 경우 사세론을 바탕으로 주화를 주장함으로써 전후 조선과 청의 관계를 조율하고자 하였다. 조익이나 장유도 명분론에 얽매이지 않는 현실 인식을 통해 현실 문제 해결을 위한 변통론을 주장하였다. 이들이 제안한 여러 방안들은 양반제와 지주제의 모순을 기득권의 제한을 통해 해소하고자 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의 견해는 주자학의 명분의리론을 고수하는 집단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 그 구별은 이이의 경장론을 연원으로 하는 서인계 변통론의 흐름 속에서 찾을 수 있지만, 학통ㆍ혼맥ㆍ학문적 교류 속에서 이어져 왔던 양명학 전통과도 관련이 있었다. 이들은 양명학을 수용하거나 이해함으로써 의리명분론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대처방안을 제안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work attempts to trace the route in which Yangming Philosophy was spread to Joseon, by exploring how both the theory of principle regulating normal and specific situations (經權論) and the theory of realistic pragmatism(事勢論) were adopted by Myung-kil Choi (崔鳴吉), Ik Cho (趙翼), Yu Chang (張維), and others who actively responded to the contemporary problems and crises of the 17th-Century Joseon. It was urgently needed for these figures to reconstruct and reform the country, particularly state system and institutions, badly damag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壬辰倭亂) and the Ching Dynasty’s Invasion of Korea in 1636 (丙子胡亂).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the latter of the two wars, the doctrines of Chu-Hsi(朱熹) such as the Identity Sense theory (名分論), the Moral Sense theory (義理論), and the theory of China and Barbarian (華夷論) no longer corresponded to realities of Joseon. This phenomenon brought about a severe panic among the contemporary ruling classes.
    Myung-kil Choi, Ik Cho, Yu Chang, and other scholars and officials of Seo-in tried hard to probe into theories and ways to overcome such crises. For example, Myung-kil Choi, by arguing for making peace of Qing which he based on the theory of realistic pragmatism, attempted to tune the postwar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Ching Dynasty. Both Ik Cho and Yu Chang, drawing on a realistic sense of actual benefit not fettered by cause, presented the theory of Adaptability (變通論). Their various suggestions had a distinctive feature which, by limiting the existing vested rights, tried to correct the problems of the Yang-ban system and the landlord system. Their views were much different from those who held on to the Identity and Moral Sense theory (義理名分論) of the doctrines of Neo-confucianism. The base of the difference, while it could be found in the theoty of Adaptability of Seo-in which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reformation of Yi Yi(李珥), had also much to do with the tradition of Yangming philosophy which had been kept up thorough scholastic mantles, marriage neeworks, and academic exchanges. The scholars and officials, by either accepting or understanding Yangming philosophy, went beyond the limit set by the Identity and Moral Sense theory and, thereby, were able to suggest realistic ways to deal with the contemporary problems and cris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