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이 정신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재검토하고, 더 나아가 체육수업의 질적 향상을 규명하고자 경상남도교육청 소재 Y시 중학생 605명을 대상으로 체육수업 인식도는 김부환(1994), 우영백(1994), 김종광(1997)이 사용한 체육수업 인식에 관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였으며, 간이정신진단검사지(Symptom checklist-90-revision)는 Derogatis(1977)의 검사지를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1984)의 연구에서 표준화된 BSI(The brief symptom inventory)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우정옥(1999)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사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체육의 인식도는 학교형태별로는 남자중학교가 성별로는 남자가 학년별로는 1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정신건강은 학교형태별로는 남자중학교가 신체화, 불안, 적대감, 정신증, 부가적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중학교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증, 공포불안, 편집증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공포불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는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증, 불안,적대감, 편집증, 정신증, 부가적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2학년에서 적대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3학년은 신체화, 강박증,대인민감성, 우울증, 불안,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부가적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2. 정신건강의 불안과 정신증에서 상관관계(p<.01)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인식과 정신건강은 전체적으로 상관(p<.05, p<.01)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 수업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수업인식의 하위변인인 수업선호, 평가시설, 효과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회귀선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p<.001)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이 수업인식에 미치는 회귀분석 결정계수를 검증한 결과 R2값은 4.5%-8.4%로 나타났다.4. 정신건강이 수업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정신건강의 하위변인인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증,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 부가적 항목이 수업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회귀선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p<.001)가 나타나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수업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회귀분석 결정계수를 검증한 결과 R2값은 6.6%-9.0%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review the positive effects of physical education on the mental health, and thus to make aquality improvement in physical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work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650 middleschool students in Y, Gyeongsangnamdo. For their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this researcher changed 10 questions (No. 1, 6,11, 16, 19, 20, 22, 24, 25, and 26) of the questionnaire on recognition of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used by Bu-hwan Kim(1994), Young-baek Woo(1994), and Jong-gwang Kim(1997), to let them fit this work. For Symptom checklist-90-revision, this workemployed the questionnaire that was used by Jeong-ok Woo (1999) who applied the BSI (the Brief Symptom Inventory) that wasstandardized with the checklist of Derogatis(1977) in the research by Gwang-il Kim, Jae-hwan Kim, and Ho-taek Won(1984). And,the result is presented as follows:1. The awareness of physical education is higher in boys' middle school by the form of the school, boys by gender and 1st yearby the grade. Mental health is higher in item of somatization, anxiety, hostility, psychosis and additional items of boys' school and incase of girls' school, it is higher in obsessive-compulsive neurosis, sensitiveness to person, depression, phobic anxiety and paranoiaby the form of school. By the gender, in boy's case, it has higher rates on phobic anxiety and in girl's case, somatization,obsessive-compulsive neurosis,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aranoia, psychosis and additional items have higher grade. By the grade,hostility has highly graded in second year, and in third year,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neurosis, sensitiveness to person,depression, anxiety, phobic anxiety, paranoia, psychosis and additional items have highly rated.2. Interrelation(p<.01) between anxiety of mental health and psychosis is the highest, however, class awareness and mental healthhave low correlation.(p<.05, p<.01)3. The effect class awareness to mental health, resulting from verifying goodness of the regression line about effects classpreference, estimate facility and the recognition of effects as lower factors of class awareness have on mental health, it has asignificant difference(p<.001). And resulting from verifying R-squared of regression analysis of effect that mental health have on classawareness, the R2 result was 4.5%-8.4%.4. The effect mental health to class awareness, resulting from verifying goodness of the regression line about effects somatization,obsessive-compulsive neurosis, sensitiveness to person,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a, psychosis and additionalitems as lower factors of mental health have on class awareness, i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And resulting from verifyingR-squared of regression analysis of effect that class awareness have on mental health, the R2 result was 6.6%-9.0%.
해피캠퍼스에서는 자료의 구매 및 판매 기타 사이트 이용과 관련된 서비스는 제공되지만, 자료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는 안내가 어렵습니다.
자료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판매자에게 직접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1.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구매자료] 에서 [자료문의]
2. 자료 상세페이지 [자료문의]
자료문의는 공개/비공개로 설정하여 접수가 가능하며 접수됨과 동시에 자료 판매자에게 이메일과 알림톡으로 전송 됩니다.
판매자가 문의내용을 확인하여 답변을 작성하기까지 시간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휴대폰번호 또는 이메일과 같은 개인정보 입력은 자제해 주세요.
※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등 서비스 불편사항은 고객센터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찾으시는 자료는 이미 작성이 완료된 상태로 판매 중에 있으며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합니다.
1. 자료 검색 시에는 전체 문장을 입력하여 먼저 확인하시고
검색결과에 자료가 나오지 않는다면 핵심 검색어만 입력해 보세요.
연관성 있는 더 많은 자료를 검색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결과가 너무 많다면? 카테고리, 기간, 파일형식 등을 선택하여 검색결과를 한 번 더 정리해 보세요.
2. 검색결과의 제목을 클릭하면 자료의 상세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자료구성), 페이지수, 저작일, 가격 등 자료의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소개글, 목차, 본문내용, 참고문헌도 미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잘 활용하여 원하시는 자료를 다운로드 하세요
자료는 저작권이 본인에게 있고 저작권에 문제가 없는 자료라면 판매가 가능합니다.
해피캠퍼스 메인 우측상단 [내계정]→[마이페이지]→[내자료]→[자료 개별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자료등록 순서는?
자료 등록 1단계 : 판매자 본인인증
자료 등록 2단계 : 서약서 및 저작권 규정 동의
서약서와 저작권 규정에 동의하신 후 일괄 혹은 개별 등록 버튼을 눌러 자료등록을 시작합니다.
①[일괄 등록] : 여러 개의 파일을 올리실 때 편리합니다.
②[개별 등록] : 1건의 자료를 올리실 때 이용하며, 직접 목차와 본문을 입력하실 때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