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청소년의 신경세포 생성과 작업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3.08
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웰니스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웰니스학회지 / 8권 / 3호
저자명 : 전용균, 이지영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 의
V. 결 론

한국어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뇌 발달시기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강도별 유산소운동 처치가 혈중 BDNF,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과 작업기억력(working-memory)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경기도 소재 D중학교 학생으로 신체적으로 병력이 없는 30명을 선정하였다. 집단분류는 저강도 유산소운동집단(LIEG, 40%VO2R, n=10), 중강도 유산소운동집단(MIEG, 60%VO2R, n=10), 통제집단(CG, n=10)으로 하였다. 운동은 12주간 주3회로 실시하였고, 운동방법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였으며, 운동시간은 운동량을 동일화하기 위해 200kcal소모에 맞는 운동시간을 산출(ACSM)하여 개개인에게 적용시켰다. 실험결과 12주간의 강도별 유산소 운동 후 BDNF 변화는 중강도 유산소운동집단(MIEG)에서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였고(p<.05), 저강도 유산소운동집단(LIEG)과, 통제집단(CG)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에피네프린과 노에피네프린의 변화는 중강도, 저강도 유산소운동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2주간 강도별 유산소 운동 전·후 집단 내 작업기억력변화는 중강도,저강도 유산소운동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였다(p<.05).

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um BDNF,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working memory of theadolescents who are still undergoing brain development when the intensity of their aerobic exercises differs. The subjects of thisstudy are 30 students with no history of physical illness from D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Gyeonggi do Republic ofKorea.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low intensity exercise group, middle intensity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hehomogeneity among the groups were verified.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3 times per week in the duration of 12 weeksusing treadmills. The Aerobic exercises were designed to burn 200kcal and the exercise time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forthe consumption of 200kcal and the exercises were applied to each individual for the duration of 12 weeks. Before and after 12weeks of aerobic exercises of different levels, the middle intensity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DNF whenat rest (p<.05) but low intensity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was showed no significant. Epinephrine, Norepinephrine wasshowed no significant.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aerobic exercises of different levels, the middle and low intensity grouplevel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working-memory(p<.05)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청소년의 신경세포 생성과 작업기억능력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