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duction to food sanitation
2. Definition of key words in food sanitation
3. Bacterial pathogens
본문내용
* 식중독의 위험 (Foodborne illness/Food poisoning disease)
-개인 : illness or disease
: 가계 수입의 소실, 의료비, 사망 또는 장의비, 약 또는 특별한 필요 비용, 생산성 손실
- 회사 : closed (최악의 경우, 망하거나 주인이 바뀜)
: 손님 또는 판매 손실, 명성과 위신의 상실, 소송, 보험료 상승, 소속인들의 사기 저하, 이직 증가, 곤란한 상황
* 위생에 주의를 기울이다.
- 식품 산업은 더 크고 다양해 졌다.
- 최근 경향 : 간편 요리와 가공요리 증가
- 위생 관행이 더 복잡해졌다. (전문화된 지식이 더 필요)
* 식품 위생(sanitation/hygiene)
- 식품 시스템은 복잡하고, 집중적이며, 역동적인 활동의 사슬로서, 소매 식품에 대한 원료의 생산으로부터 시작된다.
- 단순히 깨끗한 것(청결) 이상
- sanitation은 건강이라는 의미의 라틴어 “sanitas"에서 유래되었다.
- 위생 및 건강 상태의 조성 및 유지
: 식품의 완전성 제공
: 미생물에 의한 오염 방지
: 식품 오염 미생물의 증식(확산) 최소화
* 위생의 목적
- 제품 용인 가능성(acceptability) 증가
- 제품 유통기간 증가
- 소비자에게 기쁨과 만족감
- 공중 보건 위험 감소
- 규제기관과 검사관의 신뢰 증가
- 제품 폐기물 제거 감소
- 직원 사기 향상
* 비슷하지만 다른 단어
- sanitation(위생) : 소비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조건의 제거(안전한 수준으로 병원균 감소)
- cleaning(세척) : 흙이나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반드시 위생적인 것은 아님)
- safety(안전) : 소비하기에 적합한 음식의 전반적인 품질
- hazard(위해) :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거나 고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모든 것
- control measures(제어(법)) : hazard를 줄이거나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