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2개
-
[실험설계] DSC, TGA를 이용한 PE 및 PP의 열적 특성 분석2025.01.241. Impact behavior of Polypropylene & Polyethylene blends 이 실험에서는 DSC와 TGA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열적 특성(Tg, Tc, Tm)을 측정하였습니다. PE의 경우 Td는 402.33°C, Tm은 125°C, Tc는 100°C였고, PP의 경우 Td는 349.22°C, Tm은 164°C, Tc는 108°C였습니다. 시료의 양이 너무 적거나 많으면 데이터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적절한 양의 시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TGA 측정 시 영점을 잡는 것이 ...2025.01.24
-
유레아수지의 합성 및 기기분석 결과 (FT-IR, DSC, TGA)2025.01.201. FT-IR 분석 FT-IR 분석을 통해 요소(Urea)와 요소수지(Urea Formaldehyde resin)의 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요소에서는 N-H stretch, N-H bend, C-N 결합, 아마이드 C=O 결합 등이 관찰되었고, 요소수지에서는 가교 정도를 N-H 결합 감소와 C-O 결합 증가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 DSC 분석 DSC 분석 결과, 가교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요소수지에서는 Tg가 나타나지 않고 Tm 피크만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요소수지가 제대로 경화되지 않고 prepolymer 형태로 존재하기...2025.01.20
-
에폭시 수지의 합성 결과레포트(합성방법 및 고찰)2025.01.191. 에폭시 수지 합성 BP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으로 에폭시 수지를 합성하였고, IR 분석을 통해 C-Cl 결합이 사라지고 repeating unit의 작용기 피크가 강해지는 등 합성이 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DSC 분석을 통해 경화 전후의 Tg 변화를 관찰하여 경화 과정에서 사슬간 결합이 증가하여 Tg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에폭시 수지의 경화 메커니즘 에폭시 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산무수물과의 반응으로 에스터기가 생성되고 OH기가 줄어드는 것을 IR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산무수물에 의한 에폭시 수지...2025.01.19
-
열분석 보고서2025.01.231. 열분석 열분석 방법인 TGA, DSC, DTA를 이용하여 재료의 상변화와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재료의 상태도를 작성하여 온도와 조성에 따른 상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2. 상태도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Pb-Sn 합금의 상태도를 작성하였다. 상태도를 통해 온도와 조성에 따른 액체상, 고체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비표면적 분석 기공 크기와 비표면적 분석을 통해 재료의 미세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재료의 물성과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1. 열분석 열분석은 물질의 열적 특...2025.01.23
-
[A+ 레포트] PMMA 벌크중합 (결과 레포트)2025.01.161. PMMA 벌크중합 실험을 통해 PMMA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으며, FT-IR 및 DSC 분석을 통해 PMMA의 물성을 확인하였습니다. PMMA는 무정형 열가소성 고분자로 유리전이온도가 약 105°C이며, 뛰어난 투과성, 가공성, 내열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합 과정에서 온도 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론적 중합 속도와 실험적 중합 속도에 차이가 있었습니다. 1. PMMA 벌크중합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벌크중합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사용하여 고분자 PMMA를 제조하는 방법입니다....2025.01.16
-
A+ 졸업생의 PVAc 현탁중합 예비 레포트2025.01.161. PVAc (Polyvinyl acetate)현탁 중합 PVAc (Polyvinyl acetate)는 초산비닐 모노머를 중합하여 만들어지는 열가소성 수지입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무색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무정형 고분자, 연화온도가 매우 낮아 부드럽고 저온 흐름성을 가지며 점착력이 크다는 것입니다. 주요 용도로는 접착제, 도료, 종이 가공, 추잉껌 베이스 등이 있습니다. 2. 현탁 중합 실험 방법 실험 목적은 현탁 중합으로 PVAc를 중합하는 것입니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단량체 VAc, 개시제 BPO, 용매, 계면활성제 PV...2025.01.16
-
A+ 졸업생의 PVAc 현탁중합 결과 레포트(15페이지)2025.01.161. PVAc (Polyvinyl acetate) 현탁 중합 PVAc (Polyvinyl acetate) 현탁 중합 실험 결과 보고서. 분석 방법으로 NMR, IR, DSC, TGA, GPC를 사용하여 PVAc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IR 분석을 통해 VAc의 C=C 결합이 중합 후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고, NMR 분석에서 PVAc의 특징적인 피크를 확인하였다. GPC 분석 결과 Mw는 약 76,986 g/mol, Mn은 약 338,430 g/mol로 나타났다. TGA 분석에서는 PVAc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DSC 분석에서는 ...2025.01.16
-
A+ 졸업생의 PS 벌크중합 결과 레포트(14페이지)2025.01.161. PS 벌크중합 실험을 통해 AIBN 개시제의 양에 따라 중합속도와 분자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직접 볼 수 있었다. AIBN을 상대적으로 적게 넣은 조는 중합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분자량이 더 큰 (좀 더 딱딱한) 물질을 얻는 것을 볼 수 있었고, AIBN을 많이 넣은 조의 경우에는 중합이 빨리되었고, 좀더 말랑 말랑한(분자량이 작은)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2. IR 분석 IR Spectroscopy, DSC, TGA를 이용해 합성된 PS를 분석했을 때, 일반적인 PS의 IR Spectrum과 비슷한 Peak를 나타냈...2025.01.16
-
나일론수지의 합성(예비레포트)2025.01.231. 나일론 6,10의 합성 나일론 6,6은 탄소수 6개인 다이아민과 탄소수 6개인 다이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얻는다. 탄소수 10개인 산염화물을 사용하면 낮은 온도에서 나일론 6,10을 합성할 수 있다. 계면 중합 방법은 두 반응물을 다른 상에 녹여 계면에서 중합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것으로, 중합도를 높이는데 유리하다. 실험에서는 sebacoyl chloride와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사용하여 나일론 6,10을 합성하고, 비교반과 교반 계면 중합 방법을 사용하였다. 2. sebacoyl chloride 합성 sebacoyl acid와 ...2025.01.23
-
단국대 A+ 중합공학실험 중공실2 에폭시합성 결레2025.01.241. 에폭시 수지 합성 실험을 통해 비스페놀A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를 합성하였다. 경화 전후의 에폭시 수지 특성을 IR, TGA, DS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경화 메커니즘은 무수프탈산과 tertiary amine 촉매를 이용한 Fischer's Mechanism과 Okaya & Takana's Mechanism으로 설명되었다. 1. 에폭시 수지 합성 에폭시 수지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합성 소재입니다. 에폭시 수지는 우수한 접착력, 내화학성, 내열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접착제, 코팅제...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