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만성신부전의 주요 원인인 당뇨병과 고혈압이 증가되고 있음에, 그리고 만성신부전의 질환을 앓는 연령대가 다양해지고 있음에 따라 HTN과 DM으로 ESRD 진단을 받고 내원하신 환자를 대상으로 ESRD의 병태생리와 간호 등을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수행하고자 연구하였다.
1.2.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인공신장실 실습기간을 통하여 End Stage Renal Disease(ESRD)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ESRD 진단을 받고 Hemodialysis를 위해 내원하신 대상자 분과 라포 형성 후 사정하고, 월수금 4시간 동안 혈액투석하시는 간호수행을 보조하였다. 또, EMR을 통하여 admission note, progress note, lab sheet 등을 활용하여 환자에게 수행한 간호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인터넷과 교재, 간호사 선생님께 질문을 통하여 질병에 관한 자료를 얻은 것을 토대로 간호진단을 세우고 계획, 평가 하였다.
2. 본론
2.1. 문헌고찰
2.1.1. 질병의 정의 및 병태생리
만성콩팥기능상실(만성신부전, Chronic renal failure, CRF)은 점진적이고 비가역적인 콩팥기능의 상실로,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GFR)이 60mL/min/1.73m²이하(정상 125 mL/min/1.73m²) 일 때를 말한다. 사구체여과율이 15 mL/min/1.73m² 미만으로 떨어지면 말기콩팥질환(End Stage Renal Disease, ESRD)이라 하고, 이때는 콩팥기능대체요법(투석 또는 이식)이 필요하다.
만성콩팥기능상실의 주요 원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사구체 병변, 간질성 신장 질환, 유전성 신장 질환, 폐쇄성 요로 질환, 발달성/선천성 기형 등이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신장예비력이 감소하고 신장의 기능부전, 신부전, 말기신부전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신기능 저하에 따른 병태생리적 변화로는 염분과 수분의 정체로 인한 부종과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복수 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구체여과율 감소로 인해 renin-angiotensin 축이 자극되어 aldosterone 분비가 증가하여 혈압이 상승하게 된다. 대사성 산증은 신장의 수소이온 배출 및 암모니아 생성, 중탄산염 보유 능력 저하로 초래된다. 사구체여과율 감소로 인한 혈청 인산 증가와 혈청 칼슘 감소로 뼈의 칼슘 재흡수가 감소하여 신성 골이영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신장에 의한 erythropoietin 생성 감소로 빈혈이 초래된다. 요독증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정신기능 변화, 성격 변화, 발작, 혼수를 일으킬 수 있다.
2.1.2. 질병의 증상 및 진단검사
질병의 증상 및 진단검사는 다음과 같다.
만성신부전 환자들은 위장계 증상, 심혈관계 증상, 호흡기계 증상, 신경근육계 증상, 대사 및 내분비계 증상,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피부 증상, 골격계 증상, 혈액계 이상 등 다양한 증상을 경험한다. 위장계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딸꾹질, 위장관 궤양, 출혈 등이 있다. 심혈관계 증상으로는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전도 변화, 고혈압, 심낭염, 심낭삼출, 심낭압전 등이 있다. 호흡기계 증상으로는 폐수종, 폐삼출, 흉곽마찰음 등이 나타난다. 신경근육계 증상으로는 피로, 수면장애, 두통, 무기력, 근육피로감, 말초신경질환, 발작, 혼수 등이 있다. 대사 및 내분비계 증상으로는 내당능 장애, 고지혈증, 성호르몬 장애 등이 관찰된다.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해 염분과 수분의 정체, 산독증, 고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