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구강관리 노인 보건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100세 건강을 위한 구강건강증진교육
1.1. 보건교육의 필요성
1.2. 대상에 대한 설명
1.3. 교육의 목표
1.4. 교육내용의 선정
1.5. 보건교육방법 선정 및 이유
1.6. 평가 방법
1.7. 나의 영양 위험도 평가
2. 노인 구강보건 교육
2.1. 주제
2.2. 교육의 목표
2.3. 교육 내용의 선정
2.4. 보건교육방법 선정 및 이유
2.5. 평가방법
2.6. 홍보방법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100세 건강을 위한 구강건강증진교육
1.1. 보건교육의 필요성
고령사회는 노인의 경제적 문제, 건강문제, 심리적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향상은 중요한 목표로 다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건강문제 및 구강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증가하였다. 구강 건강은 삶의 질 향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초로 구강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89.2%가 평균 2.7개의 만성질환을 앓고 있으며, 48.1%가 구강 문제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구강건강의 문제는 노인성 질환의 악화, 전신질환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 특히, 구강 내 치아 수준은 섭취 식품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저작 동작이 어려운 노인은 씹기 편한 음식을 주로 선택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구강건강은 생애주기에 영향을 미치며, 최근에는 보건정책에서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을 주요 지표로 선정하였다.
노인에게 구강문제가 발생하면 영양불균형과 전신질환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구강건강관리 교육을 통해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불충분한 영양섭취로 인한 전신건강 악화를 예방하고자 한다."
1.2. 대상에 대한 설명
OOO구에 거주하는 구강불편감을 호소하는 65세 이상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이들은 장소는 OOO 보건소 2층 체력단련실에서, 일시는 2024년 0월 0일 00:00 ~ 00:00에 실시할 예정이다.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는 컴퓨터, 빔프로젝트, 스피커, 마이크, 음향장비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대상자와 장소, 시간, 이용 가능한 자원에 대한 정보를 통해 효과적인 구강건강증진 교육을 계획하고자 한다.
1.3. 교육의 목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올바른 양치방법을 수행할 것이다. 둘째, 노년기 구강건강의 중요성 '저작불편, 불충분한 영양섭취, 전신건강 악화' 중 2가지 이상 인지할 수 있다. 셋째, 스스로 구강체조를 수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구강건강관리교육을 통해 구강불편감 호소가 감소할 것이다.
"
1.4.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 보건교육 계획서에서는 구강문제에 대한 정보 제공, 구강위생에 대한 중요성 교육, 구강관리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그리고 OX퀴즈 등을 선정하였다. 이는 대상자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구강위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실천 가능한 구강관리법을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대상자 스스로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건교육지도...
참고 자료
김가현・권용선(2016), “요양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구강건강인식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6(3): 363-371
김지화・강선희・정미애(2010),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삶의 질 평가”,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1(12): 4873
김지현・김혜영(2018), “구강 자가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구강건조증과 구강건강 관현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9(3): 382-383
박미숙(2011), “서울지역 일부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이 구강보건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지, 11(2): 107-119
홍승연(2019), “한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평가와 삶의 질 관련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4): 129-137
Walls, A. W. G. & J. G. Steele(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older people”,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125(12):
853-857
Zini, A. & H. D. Sgan-Cohen(2008),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an underprivileged homebound and non-homebound elderly population inJerusalem”,American Geriatrics Society, 56: 99-104
지역사회간호학 이론과 실제, 이정열 외 저, 현문사, 2017
질병관리본부 KCDC – 지역사회건강조사 https://chs.cdc.go.kr/chs/index.do